나이벡, 국제 IBD 학회서 연구성과 발표…희귀 크론병 면역 치료 효과 확인
美 IBD 전문 학회서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연구 성과 발표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펩타이드 융합기술 바이오 전문기업 나이벡이 치료제가 전무한 희귀 크론병의 면역치료 효과를 확인하고 국제 IBD(염증성 장질환치료제)전문 학회에서 관련 연구 개발 성과를 공개했다.
나이벡은 지난 4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염증성 장질환 컨퍼런스 2019(IBD INNOVATE Conference 2019)’에 참가해 NIPEP-IBD(펩타이드 기반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의 효능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IBD INNOVATE 컨퍼런스는 미국 염증성 장질환협회(Crohn’s&Colitis Foundation) 주최로 매년 미국에서 개최되며,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를 연구하는 세계적인 석학들과 글로벌 제약사들이 참가하는 국제 학회다.
나이벡은 펩타이드 기반 염증 치료제 파이프라인(NIPEP-CARE) 중 하나인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NIPEP-IBD)를 개발하고 있다. 이번 국제 학회에서 NIPEP-IBD가 장내의 염증을 억제하는 기능뿐 아니라 염증으로 손상된 장 점막의 재생 효과까지 있다는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또한, 나이벡만의 펩타이드 플랫폼인 제형기술을 적용해 염증성 치료제에 대해 주사제는 물론 경구용 투여 제제의 실험결과를 발표해 현지 전문가들과 글로벌 제약사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으며 연구 협력을 진행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크론병으로 잘 알려진 염증성 장 질환은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인해 장에 염증 혹은 궤양이 생기는 질환으로 만성질환, 자가면역 질환 중 하나다. 또한 현재 이 병에 대한 치료제가 없는 상황으로 소염제 혹은 스테로이드 처방이 전부여서 바이오 제약 분야에서 IBD 치료제 연구개발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나이벡의 NIPEP-IBD는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도 우수한 효과를 검증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존 면역 치료제와 병용요법에서도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이벡 관계자는 “NIPEP-IBD는 염증 치료뿐 아니라 재생 효과까지 있으며, 나이벡의 펩타이드 플랫폼 기술을 이용해 장까지의 이동 및 장 내에서의 약물 효과가 가능한 경구용 제형으로 개발이 가능해 환자의 입장에서 적용의 편의성을 높였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IBD는 치료제가 없어 바이오 제약시장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는만큼 나이벡은 시장의 트렌드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며 "내년 GLP 전임상 완료 및 IND준비 등 NIPEP-IBD 연구 개발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동양생명, 1분기 당기순익 467억…전년 대비 41.1%↓
- KDB생명 "고객 지급 여력 충분…회계상 자본잠식"
- 거꾸로 가는 2차전지…업황 악화에 줄줄이 '신저가'
- 교보생명, '돌고 돌아' 다시 AXA 인수?…신창재의 선택은
- 5년 적자 '인니 KB뱅크'…첫 현지인 행장 나오나?
- 위츠, 1분기 매출액 321억…전년比 32.8% 증가
- 한패스, 태국 ‘카시콘 은행’과 계약…“동남아시장 공략”
- 심플랫폼, ‘CTR 창원공장 제조 AI 실증사업’ 수주
- NH농협은행, 해병대 제2사단 5여단에 위문품 전달
- 한국투자증권, ELW 193종목 신규 상장…지수형·종목형 다양화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동양생명, 1분기 당기순익 467억…전년 대비 41.1%↓
- 2플랫폼업계 "K-콘텐츠 해외 종속 막아야…토종 플랫폼 육성 필수"
- 3KDB생명 "고객 지급 여력 충분…회계상 자본잠식"
- 4기장군, 도시철도 정관선 예타 통과 위해 전 군민 '막판 호소'
- 5도성훈 인천교육감, 인천-오야마시 습지교육 교류
- 6유정복 인천시장, “세계인의 날 지역 공동체로”
- 7조용익 부천시장, “청소년 글로벌 교류 적극 지원”
- 82025년 APEC 인천, 현장 준비는 어디까지 왔나
- 9 남양주FC, 경기도체전 축구 2연패 달성
- 10인천시 공유 전동킥보드, 주차·관리 여전히 부족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