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설 연휴 지출 비용 … 50만 2,000원 쓴다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 평생교육 전문기업 휴넷(대표 조영탁)이 1월 15일부터 사흘간 직장인 930명을 대상으로 2020년 설 계획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직장인들은 이번 설에 50만 2,000원을 지출할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설 지출 예상 비용45만 8,000원 보다 4만 4,000원 가량 늘어난 금액이다.
‘10만 원 이상~30만 원 미만’ 25.5%로 가장 많았으며, ‘30만 원 이상~50만 원 미만’이 24.5%이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다. 이어 ‘50만 원 이상~70만 원 미만’ 17.3%, ‘70만 원 이상~100만 원 미만’ 15.3%, ‘100만 원 이상’ 11.2%, 10만 원 미만‘ 6.1%, 순이었다.
지출 비용은 결혼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기혼은 평균 55만 8,000원을, 미혼은 평균 38만 9,000원을 예상해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16만 9,000원을 더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출 예산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은 응답자 중 절반 이상(54.7%)이 ’부모님·가족 용돈‘을 꼽았다. 이어 ’선물 구입‘ 17.9%, ’차례 상차림‘ 13.7%, ’여행 비용‘ 7.4%, ’교통비‘ 4.2% 순이었다. 설 연휴에 주로 할 일은 ’고향·친지 방문‘이 38.8%로 가장 많았다. ’집에서 휴식‘ 하겠다는 의견도 25.2%로 나타났다. 이어 ’여가·문화생활‘ 17.7%, ’국내여행‘ 8.8%, ’근무‘ 6.1%, ’해외여행‘ 2.0%, ’이직 준비‘ 1.4% 등이 있었다.
또한, 이번 연휴는 평균 3.4일 쉴 것으로 조사됐다. 작년 조사에서 휴무일 수는 평균 4.3일이었다. 연휴가 작년 설(5일) 대비 줄어든 탓에 직장인들의 평균 휴무일 수도 하루 가량 줄었다. ’4일‘을 쉰다는 의견이 48.4%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3일‘ 21.5%, ’2일‘ 10.8%, ’5일‘ 7.5%, ’1일‘ 5.4%, ’6일 이상‘과 ’하루도 쉬지 않는다‘ 3.2% 순이었다. 회사의 설 상여금 지급 유무를 묻는 질문에는 ’안 준다‘ 39.8%와 ’준다‘ 37.6%가 비슷하게 나왔다. 이어 ’모르겠다‘는 22.6%였다. 대기업, 중견기업, 공기업은 ’준다‘는 비중이 높았으나, 외국계기업 및 중소기업은 ’안 준다‘는 비중이 높았다.
한편 휴넷은 연간 2,000여 개 기업, 평균 300만 명의 직장인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회원을 대상으로 직장인의 생활과 관련된 설문을 진행하고 있다./김혜영기자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 평생교육 전문기업 휴넷(대표 조영탁)이 1월 15일부터 사흘간 직장인 930명을 대상으로 2020년 설 계획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직장인들은 이번 설에 50만 2,000원을 지출할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설 지출 예상 비용45만 8,000원 보다 4만 4,000원 가량 늘어난 금액이다.
‘10만 원 이상~30만 원 미만’ 25.5%로 가장 많았으며, ‘30만 원 이상~50만 원 미만’이 24.5%이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다. 이어 ‘50만 원 이상~70만 원 미만’ 17.3%, ‘70만 원 이상~100만 원 미만’ 15.3%, ‘100만 원 이상’ 11.2%, 10만 원 미만‘ 6.1%, 순이었다.
지출 비용은 결혼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기혼은 평균 55만 8,000원을, 미혼은 평균 38만 9,000원을 예상해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16만 9,000원을 더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출 예산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은 응답자 중 절반 이상(54.7%)이 ’부모님·가족 용돈‘을 꼽았다. 이어 ’선물 구입‘ 17.9%, ’차례 상차림‘ 13.7%, ’여행 비용‘ 7.4%, ’교통비‘ 4.2% 순이었다. 설 연휴에 주로 할 일은 ’고향·친지 방문‘이 38.8%로 가장 많았다. ’집에서 휴식‘ 하겠다는 의견도 25.2%로 나타났다. 이어 ’여가·문화생활‘ 17.7%, ’국내여행‘ 8.8%, ’근무‘ 6.1%, ’해외여행‘ 2.0%, ’이직 준비‘ 1.4% 등이 있었다.
또한, 이번 연휴는 평균 3.4일 쉴 것으로 조사됐다. 작년 조사에서 휴무일 수는 평균 4.3일이었다. 연휴가 작년 설(5일) 대비 줄어든 탓에 직장인들의 평균 휴무일 수도 하루 가량 줄었다. ’4일‘을 쉰다는 의견이 48.4%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3일‘ 21.5%, ’2일‘ 10.8%, ’5일‘ 7.5%, ’1일‘ 5.4%, ’6일 이상‘과 ’하루도 쉬지 않는다‘ 3.2% 순이었다. 회사의 설 상여금 지급 유무를 묻는 질문에는 ’안 준다‘ 39.8%와 ’준다‘ 37.6%가 비슷하게 나왔다. 이어 ’모르겠다‘는 22.6%였다. 대기업, 중견기업, 공기업은 ’준다‘는 비중이 높았으나, 외국계기업 및 중소기업은 ’안 준다‘는 비중이 높았다.
한편 휴넷은 연간 2,000여 개 기업, 평균 300만 명의 직장인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회원을 대상으로 직장인의 생활과 관련된 설문을 진행하고 있다./김혜영기자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오늘 첫 경선토론 여는 국힘…김문수·안철수·양향자·유정복 대결
- 한덕수 대행 4·19기념사 "위기극복에 국민 통합이 가장 중요"
- 정치권 "4·19 정신 계승해야"
- "의약품 기부·희귀질환 지원" 제약업계, 사회공헌활동 강화
- 말레이 총리 "미얀마 휴전 연장할 듯…아세안, 인도적 지원"
- 젤렌스키, 8월 5일께 日 오사카엑스포 방문 검토
- 트럼프·시진핑 사이 동남아…'양자택일' 현실화
- 24시간에 종전 가능?…트럼프, 우크라 종전협상 '나몰라라' 논란
- 백악관, '코로나19 바이러스 인위적 제조' 홈페이지 게재
- 로이터 "테슬라 저가 모델 출시 최소 3개월 지연"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오늘 첫 경선토론 여는 국힘…김문수·안철수·양향자·유정복 대결
- 2한덕수 대행 4·19기념사 "위기극복에 국민 통합이 가장 중요"
- 3정치권 "4·19 정신 계승해야"
- 4민화, 시대를 넘나드는 예술 그리고 민화의 삶을 사는 손유영 작가
- 5전북대병원, 비수도권 최초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GMP 인증 획득
- 6김철우 보성군수 "지역 미래 인재 위해 아낌없는 교육지원"
- 7"의약품 기부·희귀질환 지원" 제약업계, 사회공헌활동 강화
- 8말레이 총리 "미얀마 휴전 연장할 듯…아세안, 인도적 지원"
- 9장흥군, 5월 2~5일 정남진 장흥 키조개축제 개최
- 10젤렌스키, 8월 5일께 日 오사카엑스포 방문 검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