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여파…작년 유상증자 30.2%·무상증자 47.4%↓

[서울경제TV=이소연기자] 경기침체와 주식시장 부진으로 인해 기업들이 주식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을 꺼리면서 작년 기업들의 유·무상 증자가 급감했다.

최근 5년간 유상증자 총괄현황 [자료제공=한국예탁결제원]
21일 한국예탁결제원(이하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기업들의 유상증자 횟수는 1,053건, 금액은 16조910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16.2%, 30.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시장별로는 유가증권시장 유상증자 금액이 7조1,591억원으로 전년 대비 43.0% 감소했고, 코스닥시장(5조1,435억원)과 코넥스시장(1,303억원)은 각각 15.1%, 54.4% 줄었다. 비상장사(K-OTC, 등록·예탁지정법인)는 3조6,581억원으로 11.5% 감소했다. 배정 방식별로는 제3자 배정이 56.2%(9조484억원)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주주배정(21.4%)과 일반공모(22.4%)가 뒤를 이었다.
유상증자금액 상위권에는 동부제철(9,650억원), 한국투자증권(7,770억원), 신한금융지주회사(7,499억원) 등이 이름을 올렸다. 또한, 지난해 기업공개(IPO)를 한 기업 중 가장 금액이 큰 회사는 롯데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롯데리츠)로 4,299억원이었다.

최근 5년간 무상증자 총괄현황 [자료제공=한국예탁결제원]
무상증자의 경우 지난 한 해 동안 총 123건, 4조7,881억원 규모로 진행돼 각각 전년 대비 4.7%, 47.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별로 유가증권시장(1조30억원)과 코스닥시장(3조6,194억원)은 각각 전년 대비 65.9%, 32.2% 감소했고, 코넥스시장은 전년 대비 95.8% 급감한 290억원에 그쳤다. 다만 비상장사 무상증자 금액은 1,367억원으로 전년 대비 12.9% 늘었다.
재원별로는 주식발행 초과금을 재원으로 한 무상증자가 119건으로 전체 대상회사의 96.7%를 차지했다. 무상증자 금액이 가장 큰 회사는 헬릭스미스로 신주 상장일 종가 기준 8,229억원(426만주)이었고, 보통주 기준 무상증자 배정 비율이 가장 높은 회사는 블랭크코퍼레이션(1,500%)이었다. 배정 비율이 100% 이상인 법인은 블랭크코퍼레이션을 포함해 총 63사였다. /wown9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키움증권 "절세계좌로 ETF 모으면 현금 페이백"
- 삼성생명, 이승호 금융경쟁력제고TF장 사장 승진
- 신한證, 전 임직원 대상 AI 교육 역량 강화
- NH선물, ‘EUREX API 수수료 할인 이벤트’ 진행
- "한계기업 안 팔리네"…부실 코스닥社 M&A '냉각'
- 하나은행·네이버페이·SK브로드밴드,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위해 협력
- 업비트·빗썸,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4분기 전망은 '안갯속'
- 차기 금투협 회장 ‘3파전’…코스피 5000 이끌 적임자는
- 'AI 거품론'에 코스피 3900 붕괴…"검은 금요일"
- 결제 즉시 현장서 리뷰·적립…네이버페이 ‘커넥트’ 출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현대벤디스, ‘전국 맛집 간편식 기획전’ 개최
- 2스타벅스, 올해 커피 앰배서더에 김도형 파트너 선정
- 3“첫 편 탑승률 99%”…이스타항공, 인천-가고시마 운항 시작
- 4BMW 코리아, 블랙 프라이데이 특별 추첨 이벤트 진행
- 5키움증권 "절세계좌로 ETF 모으면 현금 페이백"
- 6영남대, AI 기반 교육 대혁신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과 업무협약
- 7삼성생명, 이승호 금융경쟁력제고TF장 사장 승진
- 8신한證, 전 임직원 대상 AI 교육 역량 강화
- 9롯데웰푸드, '식사이론 진국' 출시…"컵밥 시장 본격 진출"
- 10만트럭버스코리아, 탱크로리 최적화 '뉴 MAN TGX 4800’ 출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