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여파…작년 유상증자 30.2%·무상증자 47.4%↓

[서울경제TV=이소연기자] 경기침체와 주식시장 부진으로 인해 기업들이 주식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을 꺼리면서 작년 기업들의 유·무상 증자가 급감했다.

최근 5년간 유상증자 총괄현황 [자료제공=한국예탁결제원]
21일 한국예탁결제원(이하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기업들의 유상증자 횟수는 1,053건, 금액은 16조910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16.2%, 30.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시장별로는 유가증권시장 유상증자 금액이 7조1,591억원으로 전년 대비 43.0% 감소했고, 코스닥시장(5조1,435억원)과 코넥스시장(1,303억원)은 각각 15.1%, 54.4% 줄었다. 비상장사(K-OTC, 등록·예탁지정법인)는 3조6,581억원으로 11.5% 감소했다. 배정 방식별로는 제3자 배정이 56.2%(9조484억원)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주주배정(21.4%)과 일반공모(22.4%)가 뒤를 이었다.
유상증자금액 상위권에는 동부제철(9,650억원), 한국투자증권(7,770억원), 신한금융지주회사(7,499억원) 등이 이름을 올렸다. 또한, 지난해 기업공개(IPO)를 한 기업 중 가장 금액이 큰 회사는 롯데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롯데리츠)로 4,299억원이었다.

최근 5년간 무상증자 총괄현황 [자료제공=한국예탁결제원]
무상증자의 경우 지난 한 해 동안 총 123건, 4조7,881억원 규모로 진행돼 각각 전년 대비 4.7%, 47.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별로 유가증권시장(1조30억원)과 코스닥시장(3조6,194억원)은 각각 전년 대비 65.9%, 32.2% 감소했고, 코넥스시장은 전년 대비 95.8% 급감한 290억원에 그쳤다. 다만 비상장사 무상증자 금액은 1,367억원으로 전년 대비 12.9% 늘었다.
재원별로는 주식발행 초과금을 재원으로 한 무상증자가 119건으로 전체 대상회사의 96.7%를 차지했다. 무상증자 금액이 가장 큰 회사는 헬릭스미스로 신주 상장일 종가 기준 8,229억원(426만주)이었고, 보통주 기준 무상증자 배정 비율이 가장 높은 회사는 블랭크코퍼레이션(1,500%)이었다. 배정 비율이 100% 이상인 법인은 블랭크코퍼레이션을 포함해 총 63사였다. /wown9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새마을금고, ‘체질 개선’ 분주…부실 털고 턴어라운드 할까
- [尹파면] F4 "시장 필요시 안정조치"…금융지주사 긴급회의 개최
- [尹파면] 관세 이슈에 증시 발목...원화는 강세 회복
- 5대 금융지주 尹 탄핵 인용·美 상호관세 따른 시장 변동성 긴급점검
- 금융당국 "尹 파면·美 상호관세 영향 시장상황 면밀하게 모니터링"
- 이복현 금감원장 "금융시장 충격 대비 전직원 비상대응체계"
- 尹 탄핵 '인용' 후 원·달러 환율 1430원대로 하락
- 펠드아포테케, '2025 타이베이 뷰티 박람회' 참가
- NH농협은행 205억원 금융사고…대출상담사가 과다대출
- 안도걸 "지난해 대주주 3272명, 1인당 양도차익 29억 신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