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캠피싱 보안회사 시큐어앱, 사이버 범죄의 대처법 및 해결방법 제시

대부분의 사이버 범죄들은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을 기반한다. 특히 사이버 금융범죄는 익명성이라는 특수성이 활용되는 사례다.
대표적으로 '몸캠피싱'이다. 몸캠피싱은 약 5~6년 전부터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현재 주의 대상 1순위로 분류될 만큼 크게 증가한 신종 수법으로 익명성이라는 특수성이 있기 때문에 존재하는 범죄다.
이런 몸캠피씽의 주 타깃층은 남성으로 여성을 가장해 남성에게 접근한 뒤, 음란 화상 채팅을 유도하고 이를 촬영해 해당 영상으로 돈을 요구하는 형태다.
범죄일당은 영상 촬영 도중 악성코드(주로 APK파일) 설치를 유도해 피해 대상의 휴대전화 해킹을 시도한다. 해킹에 성공한 범죄일당은 피해자의 모든 지인들에게 영상을 유포하겠다고 협박한다.
이 같은 동영상 유포 협박 범죄에 당해 협박을 받고 있다면 협박범의 요구에 따르기보다는 신속히 보안 전문 업체를 찾아 동영상이 유포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현재 모바일보안 전문 기업 시큐어앱(Secure App, 대표 임한빈)에서 늘어나는 디지털 성범죄에 대응하며 피해자에게 모바일 보안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 24시간 무료상담을 지원하는 등 피해자 구제를 진행하고 있다.
임한빈 대표는 “이 같은 범죄에 당했다고 인지했다면, 가능한 한 빠르게 보안 전문 기관에 문의하여 금전적 피해와 영상 유출에 대한 피해 등 모든 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시큐어앱은 24시간 긴급상담센터를 연중무휴로 운영하고 있으며
각종 사이버범죄 및 정보통신망 침해형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제고하고 범죄 확산 분위기를 제압하는 등 범죄 예방에 솔선수범하고 있다. /신명근 기자 issu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고려대 고령사회연구원, '초고령사회와 디지털 전환' 국제심포지엄 성료
- 파킨슨병 조기 진단의 중요한 단서 ‘장내 세균’
- 오픈런에 품귀현상까지…식약처 “마운자로˙위고비 고도비만에 써야”
- 연세건우병원, 낙성대역에 신축 개원…전문의 8인 체제 확대 운영
- 생선기름 속 오메가-3 지방산, 어린이 근시 위험 낮춘다
- 16세 미만서 발생하는 '소아특발성관절염'…유병률·발생률 밝혀져
- 유독 피곤하다면... 늦더위 탓 면역력·자율신경계 이상 의심해야
- 이화의료원 ‘이화 옴니 리더십 아카데미’ 운영
- 기온 33도 이상일 때 온열질환자 급증…질병청 "8월 말까지 주의"
- 무더운 여름, 전립선 건강엔 ‘빨간 불’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