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투자전략]글로벌 증시 훈풍에 코스피도 랠리 이어갈 듯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 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감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에 글로벌 증시가 상승흐름을 이어간 가운데, 전일 2,000선을 회복한 코스피는 랠리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26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29.95포인트(2.17%) 오른 2만4,995.11에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36.32포인트(1.23%) 상승한 2,991.77에 마쳤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도 15.63포인트(0.17%) 오른 9,340.22에 거래를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장중 3,000선을 터치하며 경기 바닥론에 불을 지폈다는 분석이다.
이날(현지시간 26일) 미국 제약업체 노바백스사가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후보 물질에 대한 1차 임상시험에 돌입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호주에서 130명을 대상으로 이뤄질 첫 임상시험의 결과는 7월쯤 나올 전망으로 코로나19 종식에 대한 기대감을 끌어 올렸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봉쇄를 해제하며 각국의 소비심리가 살아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날 비영리 민간 경제조사기관 컨퍼런스보드의 발표에 따르면 5월 미국의 소비자신뢰지수는 86.6으로 전월(85.7) 대비 0.9포인트 오르며 반등에 성공했는데, 이는 시장 전망치 82.3을 웃도는 수준이다.
독일의 6월 소비자신뢰지수는 –18.9로 전월의 –23.1보다 개선되며 반등에 성공했다.
다만, 미국과 중국과의 갈등 심화는 여전한 불안요소로 꼽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중간 무역합의를 예전보다 덜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1단계 무역협정 파기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이에 증권업계는 미중간 갈등 심화와 코로나19 재확산 등의 우려가 여전하지만, 경기 회복 기대감을 바탕으로 한 상승 랠리에 무게를 둬야 한다고 조언한다.
조익재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과거 쇼크 때 주가가 낙폭 의 60~70%를 회복하면 1차 조정 혹은 횡보가 나타났기 때문에 현 구간은 증시의 단기 고점에 대한 의심이 드는 국면”이지만 “Lockdown 해제 이후 글로벌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기 이전까지는 조정이 없다는 입장”이라 전했다.
조 연구원은 또 “글로벌 증시는 Lockdown 해제 이후 경기 회복 가능성을 반영해왔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미국의 소비 회복 여부”라며 “당사는 외식 소비, 주유소 판매 등에서 큰 폭의 반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히며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코로나19로 성장이 촉진된 산업-언택트 수혜 온라인 산업과 바이오 산업이 주도한 장세에서 경기민감 산업으로 당분간 랠리가 더 진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계기업 안 팔리네"…부실 코스닥社 M&A '냉각'
- 하나은행·네이버페이·SK브로드밴드,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위해 협력
- 업비트·빗썸,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4분기 전망은 '안갯속'
- 차기 금투협 회장 ‘3파전’…코스피 5000 이끌 적임자는
- 'AI 거품론'에 코스피 3900 붕괴…"검은 금요일"
- 결제 즉시 현장서 리뷰·적립…네이버페이 ‘커넥트’ 출시
- 속도조절에도 불붙은 빚투…반대매매 주의보
- KB국민카드, 제1회 'KB 알레그로 정기연주회' 성료
- BNK부산은행, ‘수영구 사랑의 집 고쳐주기’ 발대식 개최
- 코람코자산운용, 김태원·윤장호 각자 대표체제 출범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계기업 안 팔리네"…부실 코스닥社 M&A '냉각'
- 2부천도시공사, 조직 운영 전반 불안정 지적
- 3경기북부 3대 교통현안 ‘동시 지연’…도민 불편 가중
- 4NEXT K: 전북
- 5양양군 7급 공무원, 환경미화원 '갑질 논란' 일파만파...군은 "깊이 송구"
- 6포항시, 직원 소통·화합 행사 개최…취약지역 환경정비와 안전 배출 홍보도 진행
- 7포항시개발자문위원연합회, 포항에코빌리지 성공 조성 위한 선진지 견학 나서
- 8아태이론물리센터, 아태ai센터 포항유치필요성 논의...공감대 확산 본격화
- 9포항시, ‘2025 해양 모빌리티 안전 엑스포’서 북극항로 특화 전략 선보인다
- 10포항시, 호동근로자종합복지관·건설기능학교 새단장…근로자 복지 인프라 강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