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앤지 종속사 바이오일레븐 ‘드시모네’, 中 알리바바 티몰 입점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IT서비스 기업 민앤지의 종속회사 바이오일레븐이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가 운영하는 ‘티몰 글로벌(Tmall global)’에 고함량 프로바이오틱스 브랜드 ‘드시모네’의 단독 플래그십 스토어를 오픈했다고 20일 밝혔다. 아울러 홍콩 ‘에이치케이티비몰(HKTVmall)’에 입점하는 등 중국 건강기능식품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
올해 민앤지는 종속사와의 사업 시너지를 확대하고 자체 모빌리티 앱 플랫폼을 새롭게 선보이는 등 미래 성장동력 발굴에 총력을 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 4월에는 관계사 바이오일레븐을 주요 종속회사로 편입하고, 프로바이오틱스 브랜드 ‘드시모네’의 유통 및 마케팅 채널 확장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외에도 바이오일레븐이 보유하고 있는 마이크로바이옴 원천 기술력과 민앤지의 IT 서비스 노하우를 융합한 바이오테크 분야로의 진출도 계획하고 있다.
바이오일레븐은 현재 알리바바 그룹이 위치한 중국 항저우에 직영 사무소 설립했으며, 징동닷컴(JD.COM), 넷이즈 카올라, 브이아이피닷컴(VIP.COM) 등 거대 모바일 플랫폼을 중심으로 판매처 확대를 준비 중이다. 프로바이오틱스 ‘드시모네’를 시작으로 향후 코스메틱 브랜드 ‘바유(Ba.U)’ 등 판매 제품군도 다각화할 방침이다.
민앤지 관계자는 “바이오일레븐 종속회사 편입에 따른 연결 시너지는 이제 시작 단계로, 하반기 더욱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민앤지는 앞으로도 여러 종속사와의 협력을 토대로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다양한 사업 전략을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4월에 발표한 ‘중국의 컨슈머 헬스 시장 트렌드와 우리 기업의 진출 전략’에 따르면 2019년 중국의 건기식, 일반의약품, 영양제 등 컨슈머 헬스 시장 규모는 미국(776억 달러)에 이은 세계 2위(410억 달러)며 향후 5년간 3.8%씩 성장할 전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소비자들의 컨슈머 헬스에 대한 관심은 코로나19를 계기로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수입 및 고급 브랜드 등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4000피 코앞' 불장에 코스피 거래대금 '4년 만 최대'
- 외국인 투자자, 코스피서 1000조원 돌파…반도체 대형주 집중 매수
- 하나금융, '금융원 최초' 이사회 내 소비자보호위원회 신설
- 김천 김밥축제 찾은 삼성증권, '주식불장' 소스로 이색 마케팅
- 하나금융, 이사회 소비자보호위원회 신설…"전면적 쇄신 이룰 것”
- 金 폭락에 개미 패닉…“지금이 오히려 기회”
- 일본은행, 내주 기준금리 동결 전망…정권과의 조율 필요성 제기
- 다음 주 3분기 GDP 발표… 산업·인구·금융 통계도 공개
- 다음 주 코스닥 상장 기업 청약·수요조사 잇따라… 이노테크·핑크퐁 등 주목
- 예상 밑돈 美 물가… 뉴욕증시 3대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김천시, ‘제2회 김천김밥쿡킹대회’ 우승 김밥 축제 현장 출시
- 2영천시, ‘전국 이마트 소비자와 함께하는 영천포도 축제’ 개최
- 3'2025 해오름동맹 시립예술단 합동공연’ 내달 경주‧울산서 개최
- 4포항시, 산업 전환기 속 ‘맞춤형 일자리 정책’으로 고용 안정 견인
- 5세계로 향한 시간의 문을 열다…APEC 정상회의로 여는 ‘두 번째 전성기’
- 6김천시, 황산 어린이 그림 공모전 시상식 및 전시회 개최
- 7한국수력원자력, 건설원전 기자재 공급사와 상생협력 강화
- 8박희승 의원 "의료기기 이상사례 급증…피해구제제도 도입해야"
- 9"아직 열두 척의 배가 남아있다"…보성군, 이순신 장군 정신을 붓으로 잇다
- 10김철우 보성군수 "보성 열선루, 역사 문화 중심지로 만들 것"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