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대출만기 연장 연착륙 방안 협의…장기 분할 가능성

[앵커]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내년 3월 종료될 예정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대상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 상환 유예 대책을 연착륙시키겠다고 밝히면서 그 방법을 놓고 여러 전망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대출금 장기 분할 상환에 이자를 납부하는 방안들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정순영 기잡니다.
[기자]
어제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밝힌 '연착륙'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충격을 감안해 금융지원 대책을 한꺼번에 되돌리지는 않겠다는 뜻입니다.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 상환 유예가 1년간 지속되면서 금융권의 부담도 커지고 있어 이 같은 정책을 그대로 지속할 수 없다는 판단도 작용했습니다.
금융당국은 내년 3월 종료되는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 상환 유예 대책 방안 마련을 위해 내년 1월부터 금융‧산업 등 전문가 의견을 듣는 간담회를 열 예정입니다.
금융권에선 연착륙 방안으로 대출 원리금 상환 방식을 장기 분할로 전환해주는 것이 가장 먼저 거론됩니다.
차주의 부담을 최대한 줄여주면서 금융권 건전성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출금의 10~20% 정도만 갚은 뒤 새로운 대출을 내주는 재대출 방식도 나올 수 있습니다.
다만 지난 9월 연장 당시 논란이 됐던 이자 상환 유예는 중단될 가능성이 큽니다.
만기 연장이나 이자 상환 유예 대상자 요건을 더 까다롭게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 여파로 소상공인들의 상황이 위중한 만큼 일단 코로나19 사태 등을 예의주시한다는 입장입니다.
금융권에서는 110조원 넘게 만기를 연장한 상태에서 잠재부실의 폭탄이 터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사태가 지금보다 더 악화된다면 연착륙 방안과 관계없이 만기 연장과 이자 상환 유예가 한 번 더 연장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서울경제TV 정순영입니다./binia9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금융위, 중대재해기업 대출제한 검토…은행권 '난감'·건설업계 '긴장'
- 업비트·빗썸 코인 대여 제동…당국 TF 꾸려 규제 착수
- "사고 싶어도 못 사요"…플랫폼 한계에 'K쇼핑' 문턱 못넘는 외국인들
- 상상인저축 M&A 무산…저축은행 재편 '안갯속'
- "기대 너무 컸나"…세제안 실망에 증시 급락 전환
- 금융사 교육세율 인상…초과이익 환수 시동
- 김성태 기업은행장 " 中企 금융 양적·질적 선도·내부통제 강화할 것"
- 한화자산운용, 'PLUS 고배당주' ETF 주당 분배금 6.5% 인상
- 토스증권, '서버 개발자' 집중 채용…8월 17일까지 접수
- 상장 앞둔 에스엔시스 “글로벌 조선해양산업 대표기업 될 것”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