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광공사, ‘2020 걷기여행 실태조사’결과 발표
소규모·가족단위 걷기여행 관심도 증가

[서울경제TV 강원=강원순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11일 ‘2020 걷기 여행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걷기 여행 실태 조사는 국민들의 걷기 여행 트렌드와 이용 행태 분석을 위해 2018년부터 매년 실시 중이다.
이번 조사는 2020년 12월 11일부터 24일까지로, 만 15세 이상 전 국민 2,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전화 조사로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19%이며, ㈜코어마인드에서 수행했다.
조사 결과 지난 해 응답자들의 걷기 여행 참여 비율은 33.2%로 2019년 37.0% 대비 소폭(3.8%p) 감소했고, 이는 코로나의 영향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코로나 이후 걷기 여행에 대한 관심도에 대해 “증가함”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가장 높은 43.3%를 기록했다.
걷기여행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시간이 없어서(43.5%)”가 가장 높았으나, “위험할 것 같아서(28.9%)”와 “코로나19 때문에(27.1%)” 등 위험에 대한 지각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위험 요인은 여성과 고령층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성별·연령별 걷기 여행 경험률을 살펴보면 남성(2.2%p)보다 여성(5.3%p)의 감소폭이 컸으며, 40대 이상에서 8.1%p 감소했다.
특히 70세 이상 경험률은 2019년보다 18.1%p 감소한 5.8%에 그쳤다. 반면 30대 이하에서는 오히려 2019년 대비 3.0%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걷기 여행에 참여하는 이유로는 “자연과의 교감(64.1%)” 뿐 아니라 “신체 건강 증진(63.4%)”, “스트레스 해소(56.2%)”라고 응답했다.
코로나는 걷기 여행 행태에도 영향을 미쳤다.
걷기 여행 동반자 수는 2019년 4.57명에서 2020년 3.27명으로 감소했으며 동반자 유형은 가족 단위 비율이 2019년 50.8%에서 2020년 60.1%로 크게 증가(9.3%p)해 소규모, 가족 중심 여행 특성을 보였다.
또한 숙박 시설은 호텔과 펜션 이용률이 2019년 대비 각각 8.1%p, 5.8%p 증가했으며 1인당 평균 소비액은 2019년 10만 2,631원에서 2020년 11만 3,776원으로 증가했다.
정용문 레저관광팀장은 “코로나로 인해 걷기 여행 인구는 소폭 감소했으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됐다”며, “올해는 코로나 블루를 극복할 수 있는 치유 여행으로서 걷기 여행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k1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