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겨울스포츠로 인한 무릎통증, 인대손상 의심해야

주말을 이용해 가족, 친구들과 함께 스키나 보드 등 겨울철 스포츠를 즐기기 위해 스키장을 찾는 사람이 많다. 특히 코로나19로 외부활동이 어려운 시기, 눈밭을 가르는 시원한 질주는 잠시나마 답답함을 해소시키고 쾌감을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빠른 활강 속도에 자칫 충격이라도 발행되면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점프 후 착지하거나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 또는 갑작스러운 정지 등으로 인해 무릎인대 손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무릎인대 손상은 주로 급성으로 강한 충격이 왔을 때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 무릎이 안쪽으로 돌아가면서 인대가 늘어나거나 찢어지면서 통증이나 이상이 생기는 상태를 말한다. 문제는 통증과 무릎이 붓는 증상이 일정기간 지속된 후 증상이 점차 가라앉기도 하면서 이를 방치하는 이들도 많다는 점이다.
손상된 인대는 절대 저절로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혹시라도 그냥 방치해 손상이 누적되면 무릎 내부 연골, 물렁뼈 등 다른 부위에 2차 손상이 유발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무릎이 앞뒤로 이동하는 것이 불안정하고 관절 안에 출혈이 일어나면 종창이 생긴다. 무릎관절이 사용할 수 없을 만큼 심한 통증이 느끼거나 정상적인 보행이 힘들고 출혈과 부어오름이나 통증이 동반되기도 한다.
무릎인대 손상은 주변 조직 손상이 심하지 않으면 운동 치료나 물리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하지만, 전방십자인대 파열 등 관절 내 인대가 완전히 파열된 경우에는 수술을 통해 치료해야 한다.
겨울스포츠 부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스트레칭, 조깅 등으로 가볍게 몸을 푼 뒤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운동시에는 무리한 동작은 삼가고 안전모와 보호대 등 안전 장비를 착용해 부상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문의현 원장(더힘의원 수원영통구점)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문화해설 로봇 ‘큐아이’, 만화박물관서 ‘K-콘텐츠’ 알린다
- 한국음악저작권협회, ‘AI 사용 안 썼다’ 보증 절차 도입
- 지리산 산불, 국립공원 외곽 200m 남아…"오늘 주불 진화 최선"
- 韓 대행 "산불 이재민 일상 회복 때까지 모든 지원 아끼지 않을 것"
- '경북 산불' 사망자 2명 늘어…화마에 26명 목숨 잃어
- 부산대 의대 "미등록자 내달 5일부터 제적 절차 진행"
- 안동·의성 산불, 부분 재발화…헬기 투입 진화작업
- 한국문화정보원-법무법인 유연, 법률 자문 협약
- "가짜 팬후기"…'뒷광고' 카카오엔터 과징금 3억9000만원
- 의총협 "35개교 휴학계 반려 완료…나머지도 반려 예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