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거 본토서 통할까”…롯데리아, 이달 美 1호점 오픈
경제·산업
입력 2025-08-05 17:32:08
수정 2025-08-05 19:34:36
이혜연 기자
0개
‘한인 밀집’ 풀러턴에 1호점…미국 전역 확대
지난해 2월 ‘롯데리아 USA’ 설립…“직접 운영”
글로벌 버거 국내 상륙 속 버거 본토서 ‘승부수’
[앵커]
국내 버거 프랜차이즈 롯데리아가 버거 본토인 미국 시장에 진출합니다. 직영 체제로 운영되는 북미 1호점을 이달 중순 개점할 예정인데요. 한식을 접목한 시그니처 메뉴를 앞세워 ‘K-버거’의 세계화를 이룬다는 포붑니다. 이혜연 기잡니다.
[기자]
롯데GRS가 운영하는 롯데리아가 미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합니다.
이달 중순 미국 캘리포니아주 풀러턴에 롯데리아 북미 1호점을 연다는 계획.
풀러턴은 한인과 아시아계 거주 비중이 높아 한식에 대한 수요와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으로 꼽힙니다.
롯데리아는 이곳을 시장 반응을 검증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이자, 미국 전역 확장을 위한 교두보로 삼겠다는 전략.
롯데리아는 앞서 베트남, 미얀마, 인도네시아, 몽골 등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해외 시장을 공략하며 외형을 키워왔지만, 서구권 진출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특히 롯데리아는 베트남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현지 파트너사와의 마스터 프랜차이즈(MF) 계약을 통해 간접 진출해왔는데, 이번 미국 진출은 본사가 직접 매장을 운영하는 직진출 모델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지난해 2월 롯데GRS는 ‘롯데리아 USA’를 설립하며 북미 시장 공략 채비를 마친 상황입니다.
현지 파트너사와 협업 대신 직진출 방식을 택한 건 한식을 접목한 K-버거가 미국시장에서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는 판단 때문.
실제 롯데리아는 리아불고기버거, 전주비빔라이스버거 등 한식 콘셉트를 접목한 버거를 전면에 내세워 현지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입니다.
미국 시장 공략으로 롯데GRS가 연매출 1조원을 회복할 수 있을 지에도 관심이 모입니다.
한때 연매출 1조1249억원에 달했던 실적은 코로나19 이후 6000억원대까지 감소했지만, 최근 3년 연속 성장세를 이어가며 지난해엔 9954억원까지 회복했습니다.
올해 창립 45주년을 맞아, 브랜드 리뉴얼을 포함한 대대적인 체질 개선에도 나선 롯데리아.
글로벌 프리미엄 버거가 국내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되레 버거 본토에서 승부수를 띄운 롯데리아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혜연입니다. /hy2ee@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미약품 첫 비만신약, 40주차 평균 9.75% 감량… 연내 허가 신청
- [부고] 강창동(교촌에프앤비 커뮤니케이션부문 사장)씨 빙부상
- 코웨이 블루휠스, 2025 KWBL 휠체어농구리그 우승
- 포인랩, ‘The Next AI’서 제조산업 AI 비전 제시
- 신세계百, '디올 홀리데이 서커스 오브 드림즈' 팝업 진행
- 한화오션 3분기 영업익 2898억원…전년동기 대비 1032%↑
- 섬마을 소년에서 K‑뷰티 CEO로…이종현 닥터올가 대표, ‘생각을 피부에 바르다’ 출간
- 비디비치 ‘블랙 쿠션’, 출시 한 달 만에 브랜드 매출 1위 기록
- 경주 단팥빵 브랜드 ‘호반장’, APEC 정상회의 공식 협찬사 선정
- 김대영 킴스빈 대표, '2025 장영실국제문화상' 대상 수상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스트레이 키즈 리노, 삼성서울병원에 1억 원 기부
- 2한미약품 첫 비만신약, 40주차 평균 9.75% 감량… 연내 허가 신청
- 3강창동(교촌에프앤비 커뮤니케이션부문 사장)씨 빙부상
- 4남원시의회, 전북 의장협의회 열어 지역현안 공조 강화
- 5고창군 새마을지도자 한마음대회...우수 지도자 표창
- 6남원시, '남원 자전거 투어&퍼레이드' 성황리에 개최
- 7강원랜드, 제225차 이사회 개최… 미래 성장 기반 강화 위한 주요 안건 의결
- 8코웨이 블루휠스, 2025 KWBL 휠체어농구리그 우승
- 9수출입銀, 미주투자공사와 3억달러 금융협력…중남미 투자 강화
- 10서영학 “시민이 행복해야 진짜 관광도시…여수, 세대교체로 다시 도약해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