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병원 병리학 연구팀 '침샘 다형성 선종' 상피-중간엽 이행 기전 규명
국제학술지인 2월 온라인 판에 게재


제주대학교병원 장보근 교수. [사진=제주대 고동철 팀장]
다형성 선종은 침샘에서 생기는 가장 흔한 양성 종양으로 이하선 종양의 약 70%, 악하선 종양의 60%를 차지한다. 다형선종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30~60대에서 가장 흔하다. 특히, 조직학적으로 상피세포와 간엽 세포로 이루어져 있어 상피-중간엽 연구에 있어 중요한 모델이다. 하지만 여러 연구에도 불구하고, 다형성 선종에서 상피세포와 중간엽세포, 두 가지 다른 세포로의 전환을 조절하는 구체적인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제주대병원에서 수술 받은 30례의 다형성 선종 검체를 대상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상피-중간엽 이행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주요 전사 인자를 측정하던 중 SLUG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된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RNA IN SITU HYBRIDIZATION과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융합시킨 새로운 기법을 통하여 다형성 선종의 근상피세포와 간질세포가 SLUG를 특이적으로 발현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아울러 연구팀은 다형성 선종의 일차배양을 통해 종양세포를 분리하고, 이어 SLUG 유전자의 과발현과 억제를 유도해 SLUG가 종양세포의 상피-중간엽 이행을 조절하는 중요한 전사인자임을 규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병리학 관련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Laboratory Investigation'(Impact Factor: 5.66) 2월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jb007@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전남도, 미 관세 대응 생성형 인공지능 실무 교육
- 전남 청년 농부가 일군 농특산물…부산 시민 입맛 사로잡았다
- 대한미용協-스카이장례식장, 장례서비스 지원 등 업무협약 체결
- [기획] 인천, 2025년 문화·여행 중심지 도약
- 이재명 후보, '이순신의 길' 따라 광양서 유세 시작
- 5⋅18단체,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 5⋅18민주묘지 참배 반대
- 남원 가야홍보관 개관…세계유산 고분군 조명
- TBC·수성아트피아 소년소녀합창단, 2025년 신규단원 추가 모집
- 정태춘&박은옥 문학콘서트 ‘나의 시, 나의 노래’ 대구서 개최
- 경북테크노파크, 과테말라 섬유TASK 센터 조성지원 사업 착수식 개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티웨이항공, 순직 소방공무원 가족 대상 ‘눈부신 외출 3’ 진행
- 2KT 키즈랜드, 어린이 작가들과 그린 그림책 출간
- 3코스피, 2620대 강보합 출발…코스닥은 하락
- 4롯데웰푸드 기업문화팀장, 근로자의 날 대통령 표창 수상
- 5네이버페이, Apple 서비스에 간편결제 서비스 시작
- 6롯데칠성음료, 광장시장 내 팝업스토어 '탐스 싱싱마켓' 운영
- 7하나카드, 새마을금고 PLCC 상품 MG+신용카드 10만좌 돌파
- 8전남도, 미 관세 대응 생성형 인공지능 실무 교육
- 9전국 '착한 가격 맛집' 한눈에…KB금융, 마음가게 전용 홈페이지 개설
- 10"캐즘 극복·미래 성장"…포스코퓨처엠, 올해 임금협상 무교섭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