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농협은행도 예금금리 인상 동참… 5대 은행 예·적금 금리 모두 올려
지방은행 '부산은행'이 첫 금리 인상

[서울경제TV=최재영기자] 우리은행과 NH농협은행이 19일 예금과 적금 금리를 인상했다. 이에 따라 KB국민·신한·하나은행까지 5대 시중은행들은 예적금 금리를 모두 올렸다. 지방은행에서는 BNK부산은행이 처음으로 인상했고 다른 지방은행들도 조만간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에 따르면 이날 우리은행은 정기예금과 적립식 예금 상품 금리를 0.20~0.30%포인트 인상했다.
우리은행의 비대면 전용상품인 ‘우리 첫거래우대 예금’은 최고 연 2.5%에서 최고 연 2.8%로 ‘WON 예금’은 최고 연 1.60%에서 최고 연 2.20%로 인상했다. 특히 WON예금은 만기해지시 신규일 기본금리와 동일한 금리 우대 구조여서 최고 0.60%포인트 상승 효과가 나타난다.
또 비대면 전용상품인 ‘WON 적금’은 최고 연 2.60%에서 최고 연 2.80%, ‘우리 으쓱(ESG) 적금’은 최고 연 2.35%에서 최고 연 2.65%로 올렸다.
농협은행도 이날 예·적금 금리를 최대 0.4%포인트 올리기로 했다. 1년 만기 기준 일반정기예금 금리는 1.20%에서 1.45%로 0.25%포인트 올렸고 큰만족실세예금 금리는 1.35%에서 1.60%로 상향했다.
3년 만기 상품에서 일반정기예금은 1.20%에서 1.70%, 큰만족실세예금은 1.55%에서 1.85%로 각각 0.30%포인트씩 올렸다. 이와함께 1년 개인용 정기적금은 1.45%에서 1.70%, 3년 정기적금은 1.65%에서 1.95%로 인상했다.
이날 우리은행과 농협은행이 수신금리를 인상하면서 5대 시중은행 예·적금 금리는 모두 인상됐다. 지난 14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25%에서 1.50%로 인상한지 3영업일 만이다.
앞서 국민은행은 39종 상품 금리를 최고 0.40%포인트 인상했다. 신한은행은 최고 0.40%포인트, 하나은행은 수신상품 5종 금리를 최대 0.35%포인트 올렸다.
지방은행에서는 부산은행이 처음으로 금리를 인상했다. 부산은행은 예·적금 등 수신금리를 최대 0.40%포인트 인상했다.
경남은행도 이르면 이번주 중에 수신금리를 올리기로 했다. 대구은행은 금리 인상 수준과 시기를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고 나머지 지방은행들도 늦어도 이번달 중으로 수신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cjy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미래에셋證, ‘차이나 데이 2025’ 성료…中 혁신 기업·국내 기관 '한자리'
- 하나銀 '대전 D-도약펀드' 1000억원 출자
- 오하임앤컴퍼니, '조이웍스앤코'로 사명 변경…"호카 성장 동력"
- 비에이치아이, '주가·실적 퀀텀 점프' 위해 美 진출 가능성 점검–신한
- 우리금융그룹, 총 80兆 투입... 생산적 금융으로 물꼬 돌린다
-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포용과 혁신으로 국민의 금융그룹 완성”
- NH투자증권, 트레이딩시스템·홈페이지 주소 변경
- 하나증권 "여행 후 남은 외화로 미국 주식 투자하세요"
- 수출입銀, ‘KAI 인니 훈련기 수명연장사업’ 4500만달러 지원
- 코어라인소프트, 美 대규모 영상센터에 AI 솔루션 공급 계약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배곧서울대병원 착공식...미래형 스마트병원 첫걸음
- 2코너스톤브릿지, 월드클래스 바텐더와 '용빠나잇' 성료
- 3신안군, 지방소멸 해법 제시…'문화'가 지역 자생력의 핵심이다
- 4광양시의회, 김정재 의원 ‘호남 저주 망발’ 강력 규탄 성명
- 5완도군, 어업인 '팽창식 구명조끼' 집중 보급
- 6정샘물뷰티, 두 번째 플래그십 스토어 '정샘물 101 성수' 오픈
- 7이천시 민간임대 ‘베네스트 클러스터원 부발역’, 실수요 눈길
- 8광양시, ‘2025년 시민감동정원 조성 행사’ 성황리 개최
- 9여수시, 국가정보시스템 장애 대응 긴급 대책회의 개최
- 10순천 낙안읍성, 제30회 민속문화축제 10월 17일 개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