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 매출 4.3조 '역대 최대'…K푸드·바이오 `쌍끌이`

[서울경제TV=문다애 기자] CJ제일제당이 K-푸드와 바이오 등 해외 사업의 성장에 힘입어 올해 1분기 4조3,186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지난해 보다 17.6% 늘어난 수치로, 분기 기준 사상최대 규모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6.6% 증가한 3,649억원을 기록했다.
CJ제일제당은 9일 공시를 통해 대한통운을 포함한 1분기 연결기준 전년 동기 대비 13% 성장한 6조9,799억 원의 매출과 13.1% 늘어난 4,357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식품사업부문은 전년 대비 13% 증가한 2조6,095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국내에서는 확고한 시장지위를 바탕으로 가정간편식(HMR) 등 대형 신제품 성장을 이어갔고, 미국 슈완스를 포함한 해외 가공식품 매출은 전년비 두 자릿수 증가율(15%)을 기록했다. 특히 7대 글로벌전략제품(GSP) 대형화에 주력해 미국에서 그로서리 만두 매출이 71%, 가공밥(P-Rice) 매출이 66% 늘어나는 등 성과를 거뒀다.
국가별로는 미국뿐 아니라 중국, 일본, 유럽 등에서 K-푸드 글로벌 영토확장을 가속화했다. 이로 인해 전체 식품 매출중 해외 비중이 45%를 넘어섰다. 다만 식품 영업이익은 원부재료 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부담 증가로 전년비 약 4% 줄어든 1,697억원을 기록했다. 수익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했지만, 글로벌 인플레이션 영향에서 완전히 자유롭지는 못했다는 평가다.
아미노산과 조미소재 등 그린바이오가 주력인 바이오사업부문 매출은 1조828억원으로 전년 대비 39.3% 늘었고, 영업이익은 128% 증가한 1,758억을 기록했다. 특히, 영업이익률은 전년비 6.3% 포인트 늘어난 16.2%를 기록하며 명실상부한 ‘글로벌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자리잡았다. 미국, 중국, 동남아시아, 남미 등 글로벌 전역의 첨단 호환생산기술 및 우수 입지를 바탕으로 시장내 지위를 한층 강화했고, 고수익 스페셜티 확대와 대형 거래처 중심의 장기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성을 확보했다.
사료∙축산 독립법인 CJ Feed&Care는 6,263억원의 매출과 19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비 6.6% 늘어나며 외형 성장을 지속했지만, 베트남 돈가 하락과 곡물가 상승으로 인한 원가부담으로 영업이익은 78.2% 하락했다. 다만 지난해 4분기에 비해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 주요 사업국가의 축산 가격이 상승세로 돌아서면서 향후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
당분간 글로벌 인플레이션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CJ제일제당은 구매 및 생산역량 강화를 통해 원가를 절감하고 핵심제품의 국내외 성장을 이어간다. 식품에서는 B2B와 편의점(CVS), 온라인 등 성장채널에 역량을 집중하고, 멀티그레인(혼합 즉석밥)을 미국 등으로 수출하는 ‘햇반 글로벌 프로젝트’를 가속화한다. 바이오에서는 상반기중 해양 생분해 플라스틱 PHA 본생산 개시로 신사업인 화이트바이오 분야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미래 준비를 위한 신제품 개발 및 신사업 강화, R&D투자를 통해 구조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혁신성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dalov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LS, 글로벌 1위 美 권선 기업 ‘에식스솔루션즈’ 코스피 상장예심 청구
- [위클리 비즈] 깐부치킨, 화제의 ‘총수세트’ 출시…“젠슨 황이 먹은 그 메뉴”
- SK, 임원인사 임박…대규모 인력감축 ‘칼바람’ 예고
- ‘유통 문외한’ 2곳 뿐? 홈플러스 회생계획안 또 연장
- ‘사망 사고’ HJ중공업…김완석 대표, 중대재해 리스크 ‘휘청’
- “머스크 점찍고 벤츠 찾고”…삼성전자, 전장사업 ‘날개’
- 카카오, 호실적에도 ‘긴장’…“4분기 변수는 커머스”
- 한미약품, AI 신약개발 플랫폼…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
- 코오롱티슈진, 골관절염 세포유전자치료제 주요 기술 호주 특허 취득
- 넷마블·코웨이 방준혁 의장, 진정성 있는 사회공헌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100년 된 종이지적, 남원이 다시 그린다" 지적재조사사업 추진
- 2임실군, '2026년 귀농·귀촌 정착 지원사업' 신청 접수
- 3장수군, 청년농업인에게 매달 최대 110만 원 지원
- 4최영일 순창군수, 국회서 '농어촌기본소득 국비 80% 상향' 건의
- 5김치 맛도, 참여 열기도 '아삭'…임실 김장페스티벌 흥행 예고
- 6국립강원전문과학관, 전국 최초 의료·생명 특화 원주 개관
- 7'문화가 답이다' 전해갑 건축가, 국립민속국악원 다담 무대 오른다
- 8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가수 정삼·이청아씨 '위촉'
- 9심덕섭 군수, 김병기 원내대표 만나 서해안철도 국가계획 반영 촉구
- 10고창군 여성단체협의회, 사랑나눔 밑반찬 지원 행사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