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등 8개 도지사 "쌀값 안정대책" 정부에 촉구
김영록 전남지사 제안…국회서 "21만원대 유지 필요" 공동성명

[무안=신홍관기자] 전국 쌀 주산지 도지사들이 김영록 전남지사 제안으로 쌀값 안정대책 마련에 정부가 적극 개입할 것을 강력 촉구했다.
쌀 주산지 도지사들이 국회에 모여 쌀값 안정대책 마련을 촉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2022년산 신곡 출하 시기에도 2021년산 구곡 재고량이 시중에 많이 남아 햅쌀 가격까지 동반 하락하고 있어 쌀값 하락의 심각성을 알리고 정부 차원의 실효성 있는 대책을 끌어내기 위한 것이다.
쌀값이 사상 최대 하락폭을 기록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산지 쌀값은 세 차례 시장격리에도 지난해 10월 5일 22만 7천212원/80kg을 기록한 이후 지속해서 하락, 9월 초 현재 16만 4,470원/80kg으로, 2018년 이후 17만 원선이 무너졌다.
이에 따라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등 8개 도지사들은 15일 국회에서 ‘쌀값 안정 대책 마련 촉구’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공동 성명서를 통해 “생산비 상승과 쌀값 폭락으로 농민이 이중고를 떠안고 있다”며 “쌀농사가 흔들리면 농민 삶은 물론 대한민국 식량주권도 흔들릴 수밖에 없는 중차대한 문제에 직면하는 만큼 즉각 쌀값 안정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특히 “지난 20년간 쌀 생산비 상승률을 감안해 최소한 21만 원대 유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수입쌀 포함 80만 톤인 공공비축 물량을 순수 국내산 쌀 100만 톤으로 확대하고 2021년산 벼 재고 물량 전량 매입 △2022년산 수요 초과생산물량 전량 선제적으로 공공비축매입 방식으로 시장격리 △논 타작물 재배사업 국고지원 부활 등 쌀 적정 생산 및 소득보전을 위한 실질적 정책 시행 △정부의 쌀 수급 안정대책 의무화 등을 요구했다.
김영록 지사는 성명에서 “2017년 정부의 단호한 조치로 단 10일 만에 쌀값이 12만 원대에서 15만 원대로 오른 사례가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식량주권을 강화하고 공공비축물량을 토대로 해외 공적개발원조를 확대해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 역할을 찾아야 한다”며 “쌀 수급문제 만큼은 정부가 적극 개입해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hknew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가을, 경주가 황금빛으로 물든다. . .경주시, ‘2025 황금카니발’ 개최
- 한국수력원자력, 저선량방사선의 퇴행성관절염 치료 효과 입증
- 대구시,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금 11월 1일부터 접수
- 대구시의회 육정미 의원 "대구시 금고 운영… 투명성과 효율성 강화 필요"
- 이영애 대구사의원, '대구시교육청 올바른 국어 사용 조례안' 대표 발의
- 대구시의회, 엑스코 사업 분야 확대로 경쟁력 제고 나서
- 포항시의회 의원연구단체 '블루오션', ‘민간공원 특례사업 초과이익 환수 정책 세미나’ 개최
- 김진태 지사, 국토교통부 장관 만나 ‘제5차 국가철도망’신규사업 반영 적극 건의
- 해남군, 솔라시도에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 확정 발표만 남아…삼성 SDS 컨소시엄 단독 응모
- 고창군-서울시 청소년, 문화유산으로 이어진 '우정의 다리'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가을, 경주가 황금빛으로 물든다. . .경주시, ‘2025 황금카니발’ 개최
- 2한국수력원자력, 저선량방사선의 퇴행성관절염 치료 효과 입증
- 3대구시,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금 11월 1일부터 접수
- 4대구시의회 육정미 의원 "대구시 금고 운영… 투명성과 효율성 강화 필요"
- 5이영애 대구사의원, '대구시교육청 올바른 국어 사용 조례안' 대표 발의
- 6대구시의회, 엑스코 사업 분야 확대로 경쟁력 제고 나서
- 7포항시의회 의원연구단체 '블루오션', ‘민간공원 특례사업 초과이익 환수 정책 세미나’ 개최
- 8김진태 지사, 국토교통부 장관 만나 ‘제5차 국가철도망’신규사업 반영 적극 건의
- 9해남군, 솔라시도에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 확정 발표만 남아…삼성 SDS 컨소시엄 단독 응모
- 10고창군-서울시 청소년, 문화유산으로 이어진 '우정의 다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