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수 의원, 불법사행산업 단속 온라인만 99%
불법도박 오프라인 중심에서 온라인으로 갈아 타
한해동안 벌어들인 불법도박 총매출액 81조 5,474억원 추정
온라인 단속 11만 8,672건 중 불법 온라인도박 10만 2,482건 전체 86% 넘어
김승수 의원 “불법도박 근절 위한 감시인력 정규직 전환 및 인력충원, 예산확보에 적극나서야”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한탕주의식 불법사행산업이 오프라인 중심에서 온라인으로 옮겨지고 있는 가운데, 온라인 불법도박 감시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승수 국회의원(국민의힘·대구 북구을)은 22일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2022년 7월말 현재까지 최근 5년간 불법사행산업 현장 감시 단속 건수 1223건, 온라인 단속 건수 11만 8672건으로 전체 99%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현장 감시 단속 건수는 2017년 305건, 2018년 166건, 2019년 186건, 2020년 217건으로, 2018년에 대폭 감소했으나, 이후부터 계속 증가하다가 2021년 205건이 단속되면서 소폭 감소하는데 그쳤다.
올해 7월말 현재까지 144건이 단속되는 등 최근 5년간 1223건이 현장 감시활동에 의해 단속됐다.
유형별로는 사행성 게임장 단속 건수가 전체 44%인 538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불법 복권 단속 건수가 309건, 불법 온라인도박 216건, 불법 스포츠도박 83건, 불법 경마·경륜·경정 44건 순이었다.
한편 온라인 감시 단속의 경우, 2017년과 2018년에 각각 2만 4,197건, 2만 5,521건의 단속 실적을 보였으나, 불법 우회사이트 운영 등 단속을 회피하기 위한 기술이 갈수록 지능화되면서 2019년 1만 6476건, 2020년 2만 928건, 2021년 1만 8942건을 기록하며, 2017년과 2018년 수준의 단속 실적을 끌어올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올해 7월말 현재까지 1만 2608건이 단속되면서, 최근 5년간 총 11만 8672건이 온라인 감시활동에 의해 단속됐다.
유형별로는 카지노 및 사다리 등 불법 온라인도박이 전체 86%인 10만 2,482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불법 스포츠도박 1만 5,680건, 불법 복권 265건, 불법 경마·경륜·경정 245건 순이다.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가 2018년 8월부터 2019년 9월 기준으로 조사한 ‘제4차 불법도박 실태조사 결과’자료에 따르면, 불법도박으로 벌어들인 총매출액이 한해에만 81조 5474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됐다.
업종별로는 불법 스포츠 도박이 50조 5106억원으로 가장 많은 매출액 추정치를 기록했으며, 이어 불법 사행성게임장 14조 9806억원, 불법 온라인카지노 10조 6250억원, 온라인 즉석 실시간 게임 8조 1591억원, 사설 카지노 7조 4956억원, 경마 6조 8,898억원, 불법 웹보드게임 5조 3770억원, 불법 하우스 3조 6655억원, 경륜 2조 3761억원, 경정 1조 849억원 순으로 조사됐다.
이에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는 불법사행산업 중심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감에 따라 2020년부터 온라인 감시 1개팀 4명, 현장 감시 2개팀 8명으로 구분하여 운영하던 것을 올해는 단 1명이 증원되면서, 온라인 감시 2개팀 8명과 현장 감시 1개팀 5명으로 운영하고 있다.
다만, 감시팀의 인력이 비정규직이다 보니 수시로 바뀌는 등 인력 부족 문제가 만연하고, 특히 단속 및 수사권한 없이 단순 감시 기능만 하고 있어 3만여건 이상 추정되는 온라인 불법사행산업을 단속하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확인됐다.
김승수 의원은 “불법 도박사이트 운영자가 차단과 추적, 단속을 회피하기 위한 온라인도박 기술이 갈수록 지능화·고도화되어 웹사이트를 수시로 변화시키는 등 불법적으로 도박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며, “특히 국내의 불법 도박사이트는 대부분 해외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고 있어, 감시인력의 정규직 전환 및 인력충원, 관련 예산확보 등 불법도박을 근절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2025 정남진 장흥 물축제 화려한 개막…무더위 날리는 '물의 향연' 펼쳐져
- 남원시립예술공연장 '청아원' 개관…"시립예술단 새 도약 발판"
- 장수군, 장계·계남 공공임대주택 사업 본격화…2028년 준공 목표
- 순창군, '민원처리 알림톡' 서비스 도입…군민 소통 더 빠르게
- 임실군-영동군, 고향사랑기부로 자매결연 도시 간 '우애' 재확인
- 장수군, 여름 휴가철 맞이 '국토대청결운동' 실시
- 김건희 특검, 함성득 조사…‘공천 개입 의혹’ 관련
- [문화 4人4色 | 전승훈] 우리 이야기의 주인공은 당연히 지금, 우리다
- 영남대, 일본 NSG 그룹과 맞손. . .글로벌 교육 협력 본격화
- 인천시, 세계한인경제인대회 본격 준비 돌입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2025 정남진 장흥 물축제 화려한 개막…무더위 날리는 '물의 향연' 펼쳐져
- 2남원시립예술공연장 '청아원' 개관…"시립예술단 새 도약 발판"
- 3소비쿠폰 닷새 만에 신청률 72%…6.5조 원 지급
- 4장수군, 장계·계남 공공임대주택 사업 본격화…2028년 준공 목표
- 5순창군, '민원처리 알림톡' 서비스 도입…군민 소통 더 빠르게
- 6임실군-영동군, 고향사랑기부로 자매결연 도시 간 '우애' 재확인
- 7장수군, 여름 휴가철 맞이 '국토대청결운동' 실시
- 8김건희 특검, 함성득 조사…‘공천 개입 의혹’ 관련
- 9우리 이야기의 주인공은 당연히 지금, 우리다
- 10메타, 오픈AI 출신 자오셩자 수석과학자로 임명…“초지능 AI 이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