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석준 의원, "어린이집 한 해 평균 1,828개씩 사라진다…5년 전 대비 27%↓"
감소한 영유아 수로 인해 '산부인과·소아과' 줄폐업

[서울경제TV=김재영기자] 어린이집이 최근 5년간 한 해 동안 평균 1,828개씩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회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경기 이천시)에게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 4만238개에 달했던 어린이집은 2022년 8월말 현재 3만1,099개로 5년 동안 9,139개가 사라졌고, 연평균 1,828개씩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어린이집 폐원이 가장 많았던 해는 코로나가 한창이던 2020년으로 한 해 동안 총 3,237개의 어린이집이 폐원했다.
한편 2020년 개원한 어린이집은 1,036개로 개원 어린이집과 폐원 어린이집 차이는 2,201개가 났다. 2020년의 경우 2,201개의 어린이집이 사라진 셈이다.
우리나라 영유아 수는 같은 기간 145만243명에서 105만4,928명으로 39만5,315명이 감소했는데, 2017년 대비 2022년 8월말 현재 27.3%가 감소한 수치다.
시도별로 어린이집 감소가 가장 많았던 곳은 경기도로, 같은 기간 1만1,825개에서 9,495개로 2,330개가 사라졌다. 경기도의 영유아 수는 같은 기간 39만4,882명에서 31만9,088명으로 7만5,794명이 감소했다.
다음으로 어린이집 감소가 많았던 곳은 서울로 6,226개에서 4,749개로 1,477개가 사라졌고, 그다음이 경남으로 3,084개에서 2,148개로 936개가 사라졌다. 해당 기간 서울의 영유아 수는 7만1,528명, 경남의 영유아 수는 3만7,643명이 감소했다.
반면 어린이집이 늘어난 곳도 있는데, 세종은 같은 기간 289개에서 329개로 40개가 늘어났다. 해당 기간 어린이집은 늘어난 시도는 세종시가 유일했다. 신도시에 젊은 층이 대거 유입된 것이 원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세종시는 2017년 1만2,580명이던 영유아 수가 2022년 8월말 현재 1만4,328명으로 1,748명이 늘었다.
영유아 감소는 산부인과와 소아과 폐업으로 이어지고 있다. 같은 기간 산부인과는 275개가 폐업했고, 소아과는 662개가 폐업하는 등 산부인과는 한 해 평균 55개가 소아과는 132개가 폐업하고 있는 실정이다.
송석준 의원은 “지난해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 0.75명으로 심각한 인구절벽에 맞닥뜨리고 있다”며 “출산율을 높일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고, 저출생 현상 장기화로 경영악화에 빠진 어린이집과 보육취약지에 있는 어린이집에 대한 지원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jyk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전북경찰청, 여성청소년기능 워크숍 개최…관계성 범죄·청소년 범죄 대응 강화
- 2전북대병원, 산불 피해 복구 성금 기탁
- 3전주시의회, 전주시킥복싱협회와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논의
- 4전북자치도의회, 소식지 제90호 발간
- 5고창식품산업연구원, 관광상품 고도화 지원사업 수혜기업 모집
- 6고창군, 청보리밭축제 맞아 자매도시 대표단 방문
- 7고창군, ‘인구 5만 지키기’ 범군민 운동 전개
- 8남원시, 축산분뇨 처리에 45억 투입…쾌적한 축산환경 조성 박차
- 9남원시, 제3기 청년협의체 출범…청년 40명 위촉
- 10남원시, 4·19혁명 맞아 김주열 열사 추모식 거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