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희생자 300명 첫 국가보상금 확정…11월 지급 시작
4·3중앙위원회 "생존희생자 보상금 심의 더 이상 늦출 수 없어"

[제주=금용훈 기자] 4·3희생자 300명에 대한 첫 국가보상금이 11월부터 지급된다.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이하 4·3중앙위원회)는 27일 오후 제주도청에서 보상심의분과위원회 회의를 열고, 4·3희생자 300명에게 국가보상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4·3중앙위원회 보상심의분과위원회는 생존희생자에 대한 보상금 심의를 더 이상 늦출 수 없다며, 당시 시대적 상황과 아픔을 고려하고 추가 자료를 근거로 지난 9월 27일 심의에서 보류된 보상금 등급을 확정했다.
이날 심사한 304명 중 보상금 지급 대상으로 최종 결정된 300명에 대한 보상금 수령자는 생존희생자 80명 본인 및 사망·행불자 220명의 민법상 청구권자다.
생존희생자 83명 중 후유장애자 78명에 대한 보상금은 현 생활상과 사진자료를 참고하고 장해등급과 노동력 상실률 등에 따라 ▲9,000만 원 13명 ▲7,500만 원 41명 ▲5,000만 원 23명 ▲제외 1명(4·3 관련 국가유공자)으로 확정됐다.
생존희생자 수형인 5명 가운데 3명은 집행유예로 4,500만 원을 받게 됐으며, 개별 소송을 통해 형사보상 금액 9,000만 원 이상을 수령한 2명은 이번 보상금 지급에서 제외됐다.
사망·행방불명자 221명 중 4·3 관련 국가유공자 1명을 제외한 219명의 희생자의 청구권자는 1,763명으로 9,000만 원의 보상금이 청구권자들에게 지급되며, 개별 소송을 통해 국가·형사보상 8,000만 원 수령한 1명의 청구권자에게는 1,000만 원이 지급된다.
중앙위원회가 첫 국가보상금 지급 결정 대상으로 확정한 희생자 300명의 명단을 제주 실무위원회에 통보하는 대로 보상금을 신청한 청구권자들에게 '보상금 결정통지문'을 발송하고, 보상금 지급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제주 실무위원회는 보상금 청구 대상자를 대상으로 11월부터 보상금 결정통지문과 청구 안내문을 등기우편으로 발송할 예정이다.
청구권자들은 통지문과 통장사본 등 관련 서류를 첨부해 가까운 읍면동·행정시·도에서 보상금을 청구하면 된다.
한편, 제주도는 이달 말까지 1차 보상금 신청자 1,945명 중 1,260명을 대상으로 실무위원회 심사를 마무리하고 중앙위원회에 심의를 요청할 계획이다. 연내에 신청자 모두를 심사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제주 실무위원회는 지난 7~9월 매달 실무위원회를 열어 952명을 심사했으며, 25일 분과위원회에서 통과된 308명에 대해 10월말 실무위원회 심사를 거쳐 중앙위원회의 심의를 요청할 계획이다.
4·3중앙위원회도 수시로 위원회를 열어 최대한 많은 희생자가 연내에 보상금을 받을 수 있도록 심의할 계획이다. /jb007@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김동연 경기도지사, 국정과제 제1동반자…"경기도가 앞장선다"
- 경기도 예산 절반은 복지,,체감은 부족
- 상지대, 지역 간호학생 대상 응급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개최
- 인천 소래습지 국가도시공원 추진, 보상비 관건
- 심평원, ‘히라GPT’ 서비스와 무관… 국민 혼동 방지 위해 즉각 대응
-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가톨릭관동대학교와 함께 ‘강원 지역인재 육성을 위한 비전 포럼’개최
- 공영민 고흥군수 "자원봉사자 전문성 강화·교류 프로그램 적극 지원"
- 김한종 장성군수 "지역 경제 활성화 위한 소상공인 지원 총력"
- 진도군, 28일부터 체납차량 일제단속
- 고흥군의회, 녹동고등학교 학생들과 소통 간담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울산시, 올해 2회 추경예산 4469억 편성
- 2김동연 경기도지사, 국정과제 제1동반자…"경기도가 앞장선다"
- 3경기도 예산 절반은 복지,,체감은 부족
- 4상지대, 지역 간호학생 대상 응급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개최
- 5인천 소래습지 국가도시공원 추진, 보상비 관건
- 6심평원, ‘히라GPT’ 서비스와 무관… 국민 혼동 방지 위해 즉각 대응
- 7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가톨릭관동대학교와 함께 ‘강원 지역인재 육성을 위한 비전 포럼’개최
- 8공영민 고흥군수 "자원봉사자 전문성 강화·교류 프로그램 적극 지원"
- 9김한종 장성군수 "지역 경제 활성화 위한 소상공인 지원 총력"
- 10美주식 낮 거래 재개 추진…증권사 수익 확대 기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