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투자전략] '피벗' 기대감 물거품…"코스피 하락 출발·외인 수급 부담"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 미국이 4회 연속 자이언트스텝을 단행했다. 시장은 금리인상 속도 조절론에 대한 힌트를 기대했지만, 파월은 기준금리 5%대 진입을 시사하는 등 매파적 발언을 내놓으며 뉴욕증시는 급락했다. 이에, 국내증시 역시 하방압력이 커지며, 저조한 박스권 흐름이 예상된다.
현지시간 2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05.44p(1.55%) 하락한 3만2147.76으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96.41p(2.50%) 떨어진 3759.69로, 나스닥 지수는 366.05p(3.36%) 밀린 1만524.80으로 마감했다.
이날 시장은 FOMC 정례회의 결과와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을 주목했다. 연준은 이날 기준금리를 0.75%p 추가 인상했다. 그러나 0.75%p 인상은 이미 시장이 예상한 수순이라 큰 충격은 없었다. 문제는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이다. 파월 의장은 매파적 발언을 내놓으며 시장의 피벗(기조 변화) 기대감은 물거품이 됐다.
제롬 파월 의장은 금리 인상 중단 가능성에는 "갈 길이 멀다"고 선을 그으면서도 "속도보다 금리 수준과 지속 기간이 중요하다"고 인상 폭 완화 여지는 남겼다. 그러나 최종 금리가 이전에 예상한 것보다 더 높을 수 있다고 언급하며 시장의 불안을 야기했다. 파월 의장은 "지난 회의 이후 입수되는 자료는 최종 금리가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더 높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라고 언급했다. 이에 미국의 금리 상단이 5%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파월의 매파적 발언에 국내증시 역시 투자심리가 얼어붙을 것이란 전망이다. 증권가에서는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실망 매물 출회를 예고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의 보폭은 줄이겠지만 횟수가 늘고 긴축의 기간도 늘어나게 될 것으로 결국 국내 증시에서도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실망 매물이 나올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미국의 내년 최종금리가 예상보다 더 높아질 것이란 파월 Fed 의장이 발언은 외국인 수급에 부담을 줄 전망"이라며 "이를 감안할 때 국내 증시는 1.5% 내외 하락 출발한 후 매물 소화 과정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증시는 연준의 긴축, 인플레이션 등 기존 악재에 대해 일정부분 내성이 생겼지만 '최종금리 레벨'의 가시성을 확보하려면 12월 FOMC까지 가봐야 하는 만큼 그 과정에서 증시 변동성이 수시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증시도 간밤 빅테크 종목 급락 등 미국 증시 하락에 영향을 받으면서 약세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며 "다만 국내 증시는 그간 악재를 선반영하며 저평가된 측면이 있고 중국 내 정책 불확실성 등으로 외국인 수급 여건이 다소 우호적이라는 점, 또 미국 증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실적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지수 하단을 지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hyk@se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B국민카드, 국내 여전사 최초 '지속가능연계 신디케이트 론 조달' 성공
- 하나은행, '다이렉트 해외송금' 서비스 인도네시아로 확대 시행
- SK하이닉스, 닷새째 오르며 첫 50만원 돌파
- 유안타증권, VIP 초청 자선 프로암대회 성황리 개최
- 키움증권 “중개형 ISA로 ETF 거래하면 최대 16만원 혜택”
- 하나카드-MG새마을금고, 다섯 번째 PLCC 'MG+ W 하나카드' 출시
- 삼성증권, '중개형 ISA 잔고' 6조원 돌파 기념 이벤트 진행
- 카카오뱅크, '증권사 절세계좌 혜택 비교 서비스' 출시
- 한국전력, 3분기 실적 기대치 상회할 것…목표가↑-KB
- 주가는 이미 두배 올랐는데…디에스케이, 지체되는 M&A '골머리'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BMW 모토라드, ‘인터내셔널 GS 트로피 2026’ 韓 대표팀 최종 선발
- 2롯데홈쇼핑, 전략 패션 브랜드 '네메르' 본격 판매
- 3KB국민카드, 국내 여전사 최초 '지속가능연계 신디케이트 론 조달' 성공
- 4노브랜드 버거, ‘어메이징 감바스 버거’ 출시 1달만 20만개 돌파
- 5볼보자동차, SPA 플랫폼 기반 차량 누적 생산 400만 대 달성
- 6하나은행, '다이렉트 해외송금' 서비스 인도네시아로 확대 시행
- 7GS25, 신선식품 경쟁력 강화…1~2인 가구 플랫폼 입지 확대
- 8"스타벅스가 술까지 파네"…제자리걸음 하는 스타벅스, 돌파구 찾을까
- 9쿠팡, APEC 공식 홍보 협력사 선정…“로켓배송으로 응원 메시지 전파”
- 10LG전자, KES 2025서 공감지능으로 구현하는 더 나은 일상 제안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