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겨울 스포츠 ‘반월상연골판파열’ 부상 주의해야

겨울 한파는 스키와 보드 같은 겨울 스포츠의 짜릿함을 느끼기 위해 기다려온 이들에게 즐거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눈 위에서 빠른 속도로 하강하는 겨울철 대표 스포츠들은 활강 속도가 빠른 만큼 스릴을 느끼기 좋지만 작은 충격에도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특히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상 중 하나가 바로 ‘반월상연골판파열’이다. ‘반월상연골판’은 무릎 관절 사이에 존재하는 반달모양의 구조물로 관절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신체를 지탱한다. 하지만 지속해서 무리하거나 심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해당 부위가 파열될 수 있다.
‘반월상연골판파열’의 대표적인 증상은 무릎에서 ‘뚝’하는 소리와 함께 발생하는 통증이다. 동시에 무릎의 안정감이 줄어들면서 삐걱거림과 함께 무언가 걸리는 듯한 느낌이 느껴지고, 양반다리나 무릎을 꿇을 때, 다리를 꼬는 자세 등에서 통증이 심해질 수 있다.
파열이 심하지 않은 경우 시간이 지나며 증상이 완화되기도 하지만 방치 시 손상 부위가 악화되며, 퇴행성관절염까지 이어질 수 있어 통증이 느껴진다면 전문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증상 초기라면 약물치료, 주사치료, 물리치료 같은 보존적 치료와 함께 압박붕대 및 부목 등을 이용하여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다만 통증이 심하고 파열 정도가 심하다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절제술과 봉합술, 이식술 등이 필요하다.
관절내시경은 특수 소형카메라가 부착된 첨단 의료 장비로 치료 시 4mm 정도의 가느다란 내시경이 삽입되며, 관절 내부의 모습이 모니터 화면에 송출돼 X-ray나 CT, MRI와 같은 영상 검사로도 확인하기 힘든 부위까지 정확히 확인하며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반월상연골판파열’ 예방을 위해서는 운동 전 스트레칭과 준비운동을 실시하여 추운 겨울철 근육이나 인대 등이 경직되지 않도록 풀어주는 것이 좋다. 만약 충돌과 같은 예기치 못한 사고가 생겨 통증이 지속된다면 가급적 빨리 병원에 방문해 진찰과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주치의 있는 당뇨병 환자, 의료비 적게 쓴다
- [부고] 임관일 (前 대한한의사협회 부회장) 본인상
- 자궁경부암 수술 후 자연임신 성공…"아기 기적처럼 찾아와"
- 젊을 때 심혈관 관리… 중년 이후 심뇌혈관·신장질환 위험 낮춘다
- 발음 어눌해지고 한쪽 팔다리 힘 빠진다면…‘뇌졸중’일 수도
- “2030세대 10명 중 8명 COPD 모른다”…결핵및호흡기학회 대국민 인식도 조사
- 이대혈액암병원, 세포·유전자 처리센터 개설…"난치성 혈액암 치료 집중"
- 유럽 심낭질환 첫 가이드라인에 삼성서울병원 연구 3편 인용
- 팔다리 힘 빠지고 시야가 흐릿하다면? 다발성경화증 의심
- ‘안면신경마비’ 의심…이마 주름 잡아보거나 눈 감아보세요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촛불은 꺼지면 안 된다”…여수촛불행동, 사법개혁·여수MBC 이전 반대 외쳐
- 2임미애 의원 “국산밀 재고 창고에 쌓이는데 농식품부는 ‘가루쌀’ 더 챙겨”
- 3경북테크노파크·한국전자파학회, 무선전력전송 기술 학술워크숍 개최 및 MOU 체결
- 4대구대, ‘취업 스테이션’ 홍보 행사 열어
- 5대구교통공사, ‘대구자활 별별순회장터’ 개최
- 6iM뱅크(아이엠뱅크)-LH대구경북지역본부, ‘ESG가치 실현 위한 탄소 중립 활동’ 금융 지원 업무협약 체결
- 7대구지방환경청, 문경 돌리네 습지보호지역 친환경 경작물 가을걷이 행사
- 8대경경자청, '2025 DGFEZ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투자 네트워킹 DAY' 개최
- 9임미애 의원 “농산물 유통개혁의 키 품목농협, 설립조차 어려워”
- 10오세훈 서울시장 “10·15 대책 대폭 수정해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