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불면증 치료, 빠른 치료 타이밍이 중요

잠을 자고 싶어도 편하게 잠들지 못해 괴로움에 시달리는 불면증 사례가 많다.
만약 피로나 주간 졸림증을 수시로 느끼는 경우, 집중력이 떨어지고 기억력 저하가 두드러지는 경우, 감정 장애가 나타나고 예민해지는 경우, 졸음운전을 수시로 하는 경우 등이라면 불면증을 의심해야 한다.
불면증은 급성, 만성으로 나뉘는데 1개월 미만의 불면증 상태라면 급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중요한 시험을 앞둔 경우, 큰 사업에 도전하는 경우, 취업 과정에서 면접을 앞두고 있을 경우 등 일상생활 속에서 큰 스트레스를 받거나 흥분 상태가 지속될 때 급성 불면증이 나타나기 쉽다.
급성 불면증은 올바른 수면 습관을 유지하며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단기적인 약물치료로 개선 효과를 보기도 한다. 문제는 급성 불면증 치료 노력을 하지 않고 방치해 만성 불면증으로 이어지는 경우다.
만성 불면증은 1개월 이상 지속되는 불면증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보통 6개월 넘도록 불면증을 경험하는데 우울증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만성 불면증이 지속되면 정신적, 육체적으로 괴로움을 느끼고 삶의 질마저 현저하게 저하된다. 여기에 정상적인 일상생활 유지가 어려워 직장 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
불면증이 의심된다면 만성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빠르게 치료 타이밍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불면증 검사 방법으로는 설문 및 심리분석, 이학적 검사, 혈액검사 등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정확한 수면장애 진단을 위해서는 수면다원검사가 필요하다. 수면다원검사는 불면증과 더불어 코골이·수면무호흡증, 기면증, 수면 중 이상행동 등의 수면질환 진단을 위해 필요한 표준 검사다.
정밀 검사 이후 환자 상태에 따라 약물요법, 행동인지치료, 수면제한치료, 자극요법 등을 시행한다. 또한 만성 불면증이라면 수면 중 호흡장애 및 운동장애, 잘못된 수면습관 및 환경, 류마티스 등의 염증질환 같은 부가적인 원인 개선도 이뤄져야 한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이종우 숨수면클리닉 원장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국음악저작권협회, ‘AI 사용 안 썼다’ 보증 절차 도입
- 지리산 산불, 국립공원 외곽 200m 남아…"오늘 주불 진화 최선"
- 韓 대행 "산불 이재민 일상 회복 때까지 모든 지원 아끼지 않을 것"
- '경북 산불' 사망자 2명 늘어…화마에 26명 목숨 잃어
- 부산대 의대 "미등록자 내달 5일부터 제적 절차 진행"
- 안동·의성 산불, 부분 재발화…헬기 투입 진화작업
- 한국문화정보원-법무법인 유연, 법률 자문 협약
- "가짜 팬후기"…'뒷광고' 카카오엔터 과징금 3억9000만원
- 의총협 "35개교 휴학계 반려 완료…나머지도 반려 예정"
- 한중일 외교장관회의 1년 4개월 만에 재개…협력 의지 다져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동두천시-신한대, 지역 혁신 맞손
- 2장수군, ‘2025 풍년기원 영농발대식’ 성황리 개최
- 3장수군, 찾아가는 탄소중립 녹색생활 실천 교육 추진
- 4순창군, 100억 규모 ‘농촌공간정비사업’ 최종 선정
- 5순창군 보건의료원, 온기곤 신임 원장 취임…"지역사회 건강 증진 힘쓸 것"
- 6순창군, 제2회 청소년어울림마당 'YF'…청소년 공연팀 모집
- 7순창군의회, 2024회계연도 결산검사위원 6명 위촉
- 8남원보호관찰소 보호관찰위원 협의회 새 출발…양장욱 회장 취임
- 9소호은행 컨소 “소상공인 위한 은행 되겠다”
- 10코오롱글로벌·동부·금호건설 적자 전환…위기설 ‘솔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