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WTCR 우승…“양산차에 기술력 적용”

[앵커]
현대자동차의 경주차가 월드투어링카컵에서 드라이버와 팀 부문 동반 우승을 달성했습니다. 제조사가 직접 출전하지 않고 경주차를 구매한 프로팀이 출전하는 대회라 드라이버의 운전 실력뿐만 아니라 차량의 우수성이 빛났던 경기였는데요. 박세아 기자가 우승 주역을 만나봤습니다.
[기자]
모터스포츠카가 속도감 있는 코너링을 선보이며 힘 있게 질주합니다.
2022 월드투어링카컵(WTCR)에서 최종 우승을 기록한 엘렌트라 N TCR의 레이싱 모습입니다.
WTCR은 1년 간 전 세계에서 20차례 레이스를 펼쳐 드라이버와 팀 부문 챔피언을 가리는 대회입니다.
2022 WTCR에서 현대차는 서킷 경주차 엘란트라 N TCR로 참여해 드라이버와 팀 부문에서 모두 챔피언에 올랐습니다.
드라이버 챔피언 미켈 아즈코나는 현대차 본사에서 열린 WTCR 월드 챔피언 Q&A 세션에서 엘렌트라 N TCR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습니다.
[싱크] 미켈 아즈코나 / 2022 시즌 드라이버 부문 우승자
“이 차에 대한 첫 인상은 고속 구간에서 성능이 매우 좋다는 것이었습니다. 코너에서의 다운포스가 강력해 코너링 시 스피드를 극대화할 수 있고, 동시에 저속 구간에서는 민첩성이 뛰어나고 방향전환이 용이합니다”
현대차는 지난 2013년 현대 모터스포츠 법인(HMSG)을 설립한 후 i20 경주차를 개발해 2014년부터 모터스포츠 경기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고성능 N브랜드를 출범시키며 2017년 첫 N 양산 모델을 선보이고, WRC와 TCR 등 모터스포츠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브릿지]
“뒤로 보이는 아반떼 N을 비롯해 고성능 브랜드 ‘N’에는 현대 모터스포츠의 기술력이 담겨 있습니다”
현대차는 앞으로도 고성능 N 브랜드를 중심으로 글로벌 모터스포츠 무대에 도전하고, 모터스포츠 기술력을 국내 양산차 모델에도 적용한다는 계획입니다.
[싱크] 박준우 N브랜드매니지먼트실 상무
“현대자동차가 모터스포츠를 하면서 모터스포츠뿐만 아니라 미래 기술을 확장시켜서 발전시킬 수가 있고요. 현대 N 브랜드의 양산형 고성능차가 강해지고 그것을 기반으로 일반차 레벨까지도 더 강화시키고,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데 큰 목적이 있고요”
현대차는 내연기관 대신 전기모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벨로스터 N ETCR’을 발표하며 ‘전기투어링카레이스(ETCR)’에도 도전한다는 계획입니다.
서울경제 TV 박세아입니다. /psa@sedaily.com
[영상취재 강민우 /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오세훈 서울시장 “10·15 대책 대폭 수정해야”
- 국토부, 올해 동계 항공편 운항 일정 확정…국제선 회복세 뚜렷
- 자립준비청년 정신건강 진료 5년간 30% 증가…구조적 관리 필요
- 日, 트럼프 방일 시 美와 조선업 협력각서 체결 조율
- 최선희 北 외무상, 러시아·벨라루스 방문…북미 정상 만남 불발되나
- 국내 유통 CEO들 한자리에…APEC서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 李대통령, 아세안 참석차 말레이 향발…정상외교 슈퍼위크 시작
- 현대건설, '국내기업 최초' 美 대형원전 프로젝트 수행계약 체결
-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 정부 제동 가능성…BP 우선 협상 논란 확산
- 기후변화에 자취 감춘 중·대형 고등어…수입산 비중 확대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촛불은 꺼지면 안 된다”…여수촛불행동, 사법개혁·여수MBC 이전 반대 외쳐
- 2임미애 의원 “국산밀 재고 창고에 쌓이는데 농식품부는 ‘가루쌀’ 더 챙겨”
- 3경북테크노파크·한국전자파학회, 무선전력전송 기술 학술워크숍 개최 및 MOU 체결
- 4대구대, ‘취업 스테이션’ 홍보 행사 열어
- 5대구교통공사, ‘대구자활 별별순회장터’ 개최
- 6iM뱅크(아이엠뱅크)-LH대구경북지역본부, ‘ESG가치 실현 위한 탄소 중립 활동’ 금융 지원 업무협약 체결
- 7대구지방환경청, 문경 돌리네 습지보호지역 친환경 경작물 가을걷이 행사
- 8대경경자청, '2025 DGFEZ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투자 네트워킹 DAY' 개최
- 9임미애 의원 “농산물 유통개혁의 키 품목농협, 설립조차 어려워”
- 10오세훈 서울시장 “10·15 대책 대폭 수정해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