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E&S, 美 수소 세미나 참가…‘韓 수소 밸류체인 구축 계획’ 소개

[서울경제TV=김효진기자] SK E&S는 북미 수소산업 행사에 참가해 한국 내 수소 밸류체인 구축 계획을 소개했으며, 해외 수소 기업들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10일 밝혔다.
SK E&S는 현지시간 7~9일 美 캘리포니아 롱비치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수소 및 연료전지 세미나(Hydrogen & Fuel Cell Seminar, HFCS)’에 참가했다고 전했다. HFCS는 美 연료전지 및 수소에너지 협회(FCHEA)가 주관하고, 美 에너지부가 지원해 1976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북미 지역 수소산업 관련 행사다. 美 정부 고위 관계자·수소 기업·기관이 참석해 글로벌 수소산업 동향을 공유하며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한국은 올해 ‘주빈국(Host Country)’으로 선정돼 전용 홍보관을 운영하고, 주빈국 대표세션 을 개최했다. 특히 SK E&S는 韓산업부와 美에너지부·상무부가 공동 개최한 韓-美 수소경제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해 글로벌 수소 기업과의 사업 협력 현황과 계획을 소개했다.
본 행사에서 SK E&S는 美 수소산업 선도기업 플러그파워와 파트너십을 맺고 한국 및 아시아 수소시장 공동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설립한 합작법인 ‘SK 플러그 하이버스’(SK Plug Hyverse)를 통해 인천 지역에 ‘기가팩토리(Giga-factory)’를 건설하고, 수소 핵심설비를 국내·아시아 시장에 공급할 예정이다. 또 미국의 청록수소 분야 선도기업 ‘모놀리스 머테리얼즈’(Monolith Materials)와도 청록수소 생산 기술에 대한 연구 분야에서 협력 중이다.
이외에도 SK E&S는 美 정부측에 블루수소·청록수소 등 저탄소수소 분야 지원 정책에 대해 질의하고, 전해조·CCUS(탄소 포집·저장·활용)·연료전지 등 다양한 수소 기술 분야에서 美 기업들과의 협력 확대 지지도 요청했다.
미국은 지난 2021년 향후 10년 이내에 청정수소 생산단가를 kg당 1달러 수준으로 낮추겠다는 '수소 샷(Hydrogen Shot)'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또한 지난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청정수소 생산 및 탄소 포집 분야에 대한 세액공제 지원 등을 추진하는 등 청정수소 기반 수소경제 확산을 지원하고 있다.
수소산업은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수반되기 때문에 실물경기 활성화 효과도 기대된다. 차량·발전·중장비·드론·선박·항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해 생산-저장-유통-소비 등 밸류체인 전주기에 걸쳐 전·후방 산업 파급 효과가 크다. 또, 대한민국이 보유한 연료전지와 수소차 생산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SK E&S는 국내 수소 생태계 구축 2단계 전략을 추진 중이다. 먼저, 현재 인천에 올해 말 생산 개시 예정인 연산 최대 3만톤 규모 액화수소플랜트를 건설 중이다. 또한 충남 보령 지역에 연산 25만톤 규모 블루수소 생산기지를 구축하고, 호주 바로사 가스전 (호주 바로사-깔디따 해상가스전)에서 생산한 저탄소 LNG를 블루수소 생산에 투입하여 국내 청정수소 시대를 본격화한다는 계획도 추진 중이다.
SK E&S 관계자는 “SK E&S는 다가올 수소경제 시대에 대비해 플러그파워·모놀리스 등 미국의 수소분야 선도 기업들과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국내 수소산업 전반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hyojean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