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조기 인지 어려운 소화기 질환, 대장내시경 검사 필요

대장은 소화기계의 마지막 관문으로 통하는 신체 기관이다. 음식에 의해 섭취한 수분을 대장에서 흡수하고 잔여 물질을 분변으로 저장,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문제는 이러한 대장의 건강 상태가 악화될 경우 조기에 인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실제로 대장암, 염증성장질환 등이 발병해도 치료 타이밍을 놓치는 사례가 많아 대장점막을 직접 확인하고 치료도 가능한 대장내시경 검사가 중요하다.
또한 대장암을 예방하기 위해 대장암 전 단계인 선종성 용종을 일찍 발견하는 것이 필수다. 용종이란 대장 점막 일부가 돌출해 혹처럼 나타난 상태로 선종성 용종은 시간이 지나면서 병변이 점차 확대돼 점막층을 침범하여 악성 종양으로 변화된다.
특히 선종성 용종은 뚜렷한 증상을 일으키지 않아 정기적인 대장내시경 검사를 실시해 선종성 용종을 조기 발견, 제거하는 것이 대장암 예방의 핵심이다.
또 다른 대장 질환인 궤양성대장염, 크론병 등 염증성장질환의 경우 단순 소화불량, 복통, 설사 증세로 착각하기 쉬워 간과하기 쉽다. 2개월 이상 복통, 설사, 혈변, 체중감소가 있거나 혈액검사에서 빈혈 등이 있을 경우 원인 감별을 위해 소화기내과 전문의 진료 및 대장내시경 검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50세 이상 성인은 건강 검진으로 1년마다 분변잠혈검사를 받을 수 있으며, 양성판정자는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식생활의 서구화로 젊은 층의 대장암 환자가 늘고 있는 만큼 대장 질환 가족력을 보유하고 있거나 복통, 혈변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이준섭 대구 복현베스트내과 원장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고려대 의대 백신혁신센터, 한타바이러스 백신 개발 심포지엄 개최
- 찬바람에 메마른 ‘눈·코·입’ … 건조 증상 대처법
- 면역세포 탈진 정도 측정으로 면역항암제 효과 예측 가능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차기 회장에 강남세브란스병원 구성욱 병원장 선임
- 노경태 이대서울병원 교수, 단일공 로봇 대장수술 300례 달성
- 서울대병원-네이버, AI로 생물학적 나이와 건강 위험 예측한다
- 슈퍼주니어 김희철, 서울아산병원에 1억 원 후원
- 자생한방병원 “영유아 교통사고 후유증, 한의치료로 개선”
- "젊은 강직성 척추염 환자, 임신 중 치료 포기 안 해도 된다"
-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자궁경부암 표적 면역치료제 개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샘, 3분기 영업이익 68억원…전년比 6.1% 감소
- 2유정범 부릉 창업주, 검찰 상고 포기로 무죄 확정…신사업 '로칼' 탄력
- 3고려대 의대 백신혁신센터, 한타바이러스 백신 개발 심포지엄 개최
- 4메디톡스, 3분기 매출 610억원…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
- 5인사이터, AI 기반 ‘아맘때’ 심리검사로 서대문구 지원
- 6'안산 반월역 동문 디 이스트', 회사보유분 임의 공급
- 7휴온스, 3분기 영업익 99억원…전년比 13.7% 증가
- 8콘진원, 문화체육관광부와 '2025 프리뷰' 성료…중소 제작사 지원
- 9라이프 네트웍스, 배우 지진희 홍보 모델 발탁
- 10한미약품, 미국비만학회서 차세대 비만 신약 연구 4건 발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