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 1분기 순익 1조340억…전년 동기 대비 6.2%감소

[서울경제TV = 이연아 기자] 하나금융그룹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3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 감소했다.
홍콩H지수 ELS 관련 충당부채는 1,799억원을 적립하면서 순이익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금융권 내 순익 예상치 9,000억원 수준을 넘어섰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이자이익과 수수료 이익을 합한 핵심이익의 견조한 성장과 수익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힘입어 시장의 기대치를 상회하는 양호한 실적을 거뒀다"고 설명했다.
하나금융 핵심이익은 이자이익2조2,206억원과 수수료이익 5,128억원을 합한 2조7,3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했다.
특히 수수료 수익은 수익구조와 채널의 다각화를 통해 전년동기 대비 15.2%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수금융 등 우량 투자은행(IB) 딜 유치에 따른 IB수수료와 퇴직연금·운용리스 등 축적형 수수료, 신용카드 수수료 증가 등이 골고루 늘어난 점에 기인한다.
1분기 순이자마진(NIM)은 1.77% 수준이고, 핵심 경영지표인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0.44%, 총자산이익률(ROA)은 0.70%로 집계됐다.
자산건전성 지표도 안정적으로 나타났는데, 하나금융의 대손비용률(Credit Cost)은 전년 동기 대비 0.11%포인트(p) 개선된 0.25%로 나타났다.
1분기 충당금 등 전입액은 2,723억원, NPL커버리지비율은 152.60%,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53%로 나타났다.
BIS비율과 보통주자본비율 추정치는 각각 15.27%, 12.88%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 중이다.
계열사 별로 보면 주력 하나은행 1분기 당기순이익 13.1% 줄어든 8,432억원으로 나타났는데, 홍콩H지수 ELS 충당부채 반영에 직접적 영향을 받았다.
하나은행의 이자이익은 1조9,688억원, 수수료 이익은 2,478억원. 1분기 NIM은 1.55%로 나타났다.
또 비은행 계열사인 하나증권은 WM부문의 손님 수 확대와 세일즈앤트레이딩(S&T) 확장 등 주요 사업부문의 고른 성장세로 89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렸다.
이에 더해 하나캐피탈은 602억원, 하나카드는 535억원, 하나자산신탁은 181억원, 하나생명은 4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각각 거뒀다.
하나금융 이사회는 주주가치 향상을 위해 주당 600원의 분기배당을 실시하기로 결의했다.
연초에 발표한 3,0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의 경우 2분기 내 완료 예정으로, 매입한 자사주는 전량 소각할 계획이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올해도 주주들의 신뢰에 보답하고 주주가치 향상을 위해 다양한 주주환원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금융위, 중대재해기업 대출제한 검토…은행권 '난감'·건설업계 '긴장'
- 업비트·빗썸 코인 대여 제동…당국 TF 꾸려 규제 착수
- "사고 싶어도 못 사요"…플랫폼 한계에 'K쇼핑' 문턱 못넘는 외국인들
- 상상인저축 M&A 무산…저축은행 재편 '안갯속'
- "기대 너무 컸나"…세제안 실망에 증시 급락 전환
- 금융사 교육세율 인상…초과이익 환수 시동
- 김성태 기업은행장 " 中企 금융 양적·질적 선도·내부통제 강화할 것"
- 한화자산운용, 'PLUS 고배당주' ETF 주당 분배금 6.5% 인상
- 토스증권, '서버 개발자' 집중 채용…8월 17일까지 접수
- 상장 앞둔 에스엔시스 “글로벌 조선해양산업 대표기업 될 것”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문재인 전 대통령, '마음의 안식처' 해남서 여름휴가
- 2민주당 새 대표에 정청래…최종 득표율 61.74%
- 3서로에게 너무 당연한 태도가 불러오는 갈등
- 4안지선(헤일리온코리아 본부장) 부친상
- 5조현, 美상원·백악관 인사와 면담…"전략적 경제 협력 심화"
- 6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7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8김건희특검, '집사게이트' 의혹 IMS·사모펀드 대표 동시 소환
- 9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10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