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상생 활동 담은 '파트너스 위드 카카오' 발간

[서울경제TV=이수빈 인턴기자] 카카오는 파트너들과의 상생 이야기를 담은 매거진 ‘2024 파트너스위드카카오’를 발간했다고 11일 밝혔다.
파트너스위드카카오는 카카오의 플랫폼을 활용하는 비즈니스 파트너들의 성장 스토리와 함께, 카카오의 주요 상생 활동 및 성과를 정리한 매거진이다. 2017년 첫 발간을 시작으로 매년 발행을 이어오고 있다.
2024 파트너스위드카카오에는 2024년 상반기까지 진행한 카카오와 카카오 계열사의 주요 상생 프로그램을 비롯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고민하는 카카오의 노력을 함께 담았다. 이번 호는 ▲파트너의 지속 가능 성장 지원, ▲이용자와 파트너의 연결, ▲기술을 통한 사회문제의 해결,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 등 네 파트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으며, 파트너 인터뷰만 아니라 파트너와 가장 가까이에서 동고동락한 담당자들의 이야기도 포함시킨 것이 특징이다.
먼저 파트너의 지속 가능 성장 지원 파트에서는 9편의 인터뷰를 만나볼 수 있다. 단골거리 사업에 참여해 디지털 전환의 계기를 맞은 ‘대전 은구비서로’, 제가버치로 일주일 만에 1.1억 거래액을 달성한 ‘영암군’, 청소년 가족을 위한 IT 교육 프로그램인 카카오모빌리티 주니어랩 1기에 참여한 가족, 카카오같이가치 매달기부 서비스를 론칭한 담당자와 더 쉬운 카톡설명서를 기획한 마케터까지 각기 다른 분야에서 카카오와 함께 성장한 경험담을 전한다.
이용자와 파트너의 연결 파트에서는 카카오가 소상공인에게 직접 찾아가 디지털 전환 설루션을 제공하는 ‘프로젝트 단골’, 총 5,800톤의 농수산물이 제값에 판매되도록 유통구조를 개선한 카카오메이커스의 ‘제가버치’, 예비·기성 창작자를 위해 온라인 창작 아카데미 및 다양한 지원 사업을 운영하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카카오창작재단' 등을 소개했다.
기술을 통한 사회문제의 해결 파트에는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플랫폼, 콘텐츠, 기술을 지원하는 소셜임팩트 사업을 실었다. 디지털 금융 교육을 진행하는 카카오페이의 ‘사각사각 페이스쿨’, 2023년부터 기술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을 목표로 사회혁신가, 기술전문가들과 협력에 나선 카카오임팩트의 ‘테크포임팩트' 등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 파트에서는 디지털 인재 양성 프로그램인 ‘카카오테크 부트캠프’, 제주도민과 단체, 기관을 대상으로 공익적 소원을 이뤄주는 ‘인터넷하는 돌하르방’ 등 다양한 지역 협력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카카오와 동반성장한 파트너의 진솔한 경험담이 예비 파트너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파트너가 성장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지원하고, 카카오의 기술과 자산을 활용해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고민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9·7 부동산대책] LH, 땅 안 팔고 직접 짓는다…공공이 공급 중심으로
- [9·7 부동산대책] 2030년까지 수도권 135만호 착공…“LH 직접 개발로 속도 낸다”
- 농식품부, 계란값 우려에 산란계 '사육 면적 확대' 최대 2년 늦춰
- 쿠팡 "입점 소상공인, 중소기업으로 성장한 업체 1만개 넘어"
- LG, '에이머스 해커톤' 대회 개최…상위 3개팀에 입사 시 혜택
- 대한항공, '보잉777-300ER 항공기' 이코노미석 배열 개조 철회
- 스타벅스, '하반기 바리스타 공개 채용'…14일까지 접수
- LPG협회-르노코리아, 'LPDi 하이브리드차' 양산 개발 위한 MOU 체결
- LG엔솔 인사책임자, 美구금 현장 대응 위해 출국…"조기 석방이 최우선"
- 카카오, AI 네이티브 비전 공개…"AI는 기능 아닌 운영체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포항시, 동방경제포럼서 영일만항 북극항로 대응 전략 모색
- 2포항시, 경북 무형유산대전서 우수 전통문화 가치 전해
- 3포항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금융지원 본격화
- 42025 영천문화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시민 화합 무대
- 5경주지역자활센터, 보건복지부 평가 ‘우수기관’선정
- 6경주시, ‘월드음식점 150곳’ 선정…APEC 손님맞이 준비 박차
- 7경주시민 10명 중 8명 “시정 만족”…민선 8기 3주년 성과 확인
- 8김천시새마을회, 2025 새마을 환경 페스타 성황리 개최
- 9LH, 땅 안 팔고 직접 짓는다…공공이 공급 중심으로
- 102030년까지 수도권 135만호 착공…“LH 직접 개발로 속도 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