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패스트트랙 첫발…"안전진단 항목 개선해야"
재건축 패스트트랙 8개월만 국회 첫 문턱 넘어
'안전진단'→'재건축 진단'으로…시기 늦춰
"안전진단 뒤로 밀렸을 뿐 폐지 아냐"…지연 가능성도
"안전평가 항목서 주거환경·노후도 비중 높여야"

[앵커]
정부가 재건축 사업 속도를 앞당기기 위해 안전진단 없이 재건축을 착수할 수 있도록 한 법안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했습니다. 만약 본회의까지 통과하게 되면 최대 3년까지 재건축 절차가 단축될 전망인데요. 다만, 업계에선 안전진단 자체가 뒤로 밀릴 뿐 없어지는 게 아닌 만큼 진단평가 항목이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지영 기자입니다.
[기자]
지어진 지 30년이 넘은 노후 아파트에 대해 안전진단을 거치지 않고 재건축을 할 수 있도록 한 법안이 국회 첫 문턱을 넘었습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어제(25일) 법안심사소위를 열고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정부가 올해 초 '1.10 공급대책'을 발표한 지 8개월 만입니다.
개정안의 핵심은 '안전진단'의 명칭을 '재건축진단'으로 바꾸고, 실시 시기를 늦춘 것입니다.
지금은 재건축을 추진하기 위해 안전진단을 가장 먼저 통과해야 다음 절차로 넘어갈 수 있지만, 앞으론 안전진단을 사업계획인가 신청 전까지만 받으면 됩니다.
하지만 안전진단이 뒤로 밀린 것일 뿐 없어진 건 아닙니다.
사업 기간이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긴 하지만, 향후 안전진단 기준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면 사업이 다시 지연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겁니다.
업계에선 안전진단의 순서보다 안전진단 평가 항목이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인터뷰] 서진형 / 광운대 부동산법무학과 교수
"안전진단 기준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법 개정이 돼야만 재건축을 촉진하는 데 도움…안전진단 기준에서 구조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주거환경의 문제를 좀 더 평가 항목서를 높여서 해줘야만 안전진단 기준 통과하는 데 도움 돼…"
안전진단 평가 항목에서 주거환경, 설비 노후도 비중을 높이고 구조안전성을 낮출수록 안전진단 통과 가능성이 커집니다.
현재 안전진단 평가 항목 비중은 주거환경과 구조안전성, 설비 노후도 모두 30%입니다.
서울경제TV 이지영입니다. /easy@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김치냉장고 '딤채' 위니아, 3번째 도전 끝에 회생절차 개시
- 중기부, ‘AI 스타트업 간담회’ 주재…오픈이노베이션 강화 논의
- 고려아연 찾은 김두겸 시장 "어려운 상황 잘 대응…울산 시민도 마음 보태"
- 계룡건설-한국전기안전공사, '전기안심 인증' 업무 협약
- ‘무비자’ 中 관광객에 유통가 들썩…연말 기대감 ‘쑥’
- [서울경제 미래컨퍼런스] AI 혁신과 산업 대전환…“연결·협업으로 새 판짜야”
- LG전자 인도법인, 14일 상장…“글로벌 사우스 공략”
- 코웨이, ‘2025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 3관왕 달성
- 혁신 로봇 기술 한자리…‘서울AI 로봇쇼’ 개막
- 기아, 멕시코산 K4 첫 유럽 수출…송호성 리더십 재조명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인천교통공사, 도시철도 무임수송 해법 찾는다
- 2박형준 시장 "차세대 부산형 급행철도(BuTX) 사업 본격화"
- 3공영민 고흥군수 "전통시장서 지역 경제 활성화 동참해 달라"
- 4장흥군, '전국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서 우수상 수상
- 5김치냉장고 '딤채' 위니아, 3번째 도전 끝에 회생절차 개시
- 6중기부, ‘AI 스타트업 간담회’ 주재…오픈이노베이션 강화 논의
- 7고려아연 찾은 김두겸 시장 "어려운 상황 잘 대응…울산 시민도 마음 보태"
- 8김철우 보성군수 "'안전·편안' 추석 위해 행정력 집중"
- 9남원시, 일본 관광시장 공략…관광자원·체험 콘텐츠 적극 홍보
- 10전국 전산 장애 속 남원시, '민원 대란' 최소화 총력 대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