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올인' LG이노텍…3년째 웨스트홀 입구 차지
경제·산업
입력 2025-01-07 09:10:36
수정 2025-01-07 09:10:36
진민현 기자
0개
모빌리티 단독 테마로 전시 기획…"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웨스트홀 입구에 들어서면 약 330㎡(약 100평)규모의 LG이노텍 전시 공간이 자리한다. 지난해와 같은 장소다.
우선 올해는 모빌리티 단독 테마로 전시가 기획됐다. 3년째 LG이노텍 오픈 부스 디자인 콘셉트를 총괄한 김윤주 LG이노텍 전문위원은 "작년과 비교하면 올해 전시부스는 매우 심플하게 꾸몄다"며 "CES 주제인 '다이브 인'에 맞춰 모빌리티에만 집중해 힘을 줬다"고 설명했다.
이제는 LG이노텍의 트레이드 마크가 된 미래차 목업이 부스 정중앙에 자리 잡고 있었다. 안에는 차량 센싱, 조명 부품 등 15종의 제품이 탑재, 전시됐다.
특히 지난해에는 모빌리티, 인공지능(AI), 퓨처 패스웨이 등 3개의 구역으로 나눠 전장(차량용 전자·전기장비) 제품뿐 아니라 FC-BGA 등 반도체 기판 제품을 프라이빗 부스와 퍼블릭 부스 등 두 곳에서 선보였다면 올해는 오직 전장 제품에 '올인'했다.
또 세부 제품은 프라이빗 부스에만 공개됐으며, 일반 방문객들은 목업 뒤에 위치한 대형 화면을 통해 제품 설명과 시나리오를 볼 수 있다.
무엇보다 LG이노텍이 전장 사업을 핵심 사업 중 하나로 삼고 있는 만큼, 올해 전시에서 더 작고 좋은 성능의 전자 제품을 한데 모아 엔드 유저(최종 사용자)에게 보여주자는 문혁수 LG이노텍 대표의 의지가 컸다는 설명이다.
작년 목업에 탑재됐던 전장 부품이 18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3개 정도 줄었지만, 작년보다 성능을 개선한 고사양 제품을 중심으로 전시가 진행됐다.
그 중 자율 주행·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용 센싱 부품사업 분야의 제품인 '고성능 인캐빈 카메라 모듈'은 CES 2025에서 처음 공개되는 제품이다.
이 제품은 500만 화소급 적녹청-적외선겸용 센서를 장착한 고해상도 카메라 모듈로, 운전자의 상태를 실시간 감지하여 졸음운전 등을 방지한다.
이와 함께 기존 '고성능 히팅 카메라 모듈'에 먼지 세정 기능까지 추가한 '올 웨더 카메라 설루션'도 이번 전시에서 베일을 벗는다.
LG이노텍의 독보적 무선통신 원천기술이 적용된 차량 통신 부품들도 눈여겨볼 만하다
5세대 이동통신(5G)-V2X 통신 모듈, UWB 레이더 기술이 결합한 차세대 디지털키 설루션을 비롯해 최근 LG이노텍 전장 부품사업 포트폴리오에 새롭게 추가된 차량용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모듈 등이 대표적이다.
차량용 AP 모듈은 자동차 전자 시스템을 통합 제어하는 차량용 반도체 부품으로,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시대를 맞아 수요가 늘고 있다. 또 CES 혁신상을 받은 차량 조명 모듈 넥슬라이드 A+는 물론 차량 조명으로 다양한 텍스트와 애니메이션 효과를 구현하는 기존 픽셀 라이팅에 스마트 필름 기술을 결합한 신제품 '넥슬라이드 비전'도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전기차 필수 부품으로 각광 받는 무선 배터리 관리 시스템' 과 배터리 정션 박스를 세계 최초로 결합한 '배터리 링크'도 전시한다.
LG이노텍에 따르면 지난해 CES 기간 LG이노텍 부스를 6만여명이 찾았고, 부스 현장에서 150여건에 달하는 미팅이 성사됐다.
문 대표는 "CES 2025를 통해 새로운 고객과 사업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미래 모빌리티 '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서 입지를 한층 더 공고히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jinmh0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대법원, 형사소송규칙 개정…이재명 사건재판도 영향
- 미·중 AI 패권 경쟁 격화…中 빅테크들, 투자 '러시'
- 북한, 올해도 자금세탁·테러자금 '고위험국' 지정
- 정부, 日 '다케시마의 날' 행사 항의…"즉각 폐지 엄중 촉구"
- 글로벌 제약사들 대표 만난 트럼프 "미국서 생산 않으면 관세"
- 오세훈 "절박한 심정으로 서울시 조기 추경"
- 트럼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전격 경질…후임 곧바로 지명
- 트럼프, 외국 디지털 규제 조사 대응…韓도 영향 받을까
- 野지도부, '尹파면 촉구대회' 개최…이재명 "주권자 힘 보여달라"
- 조태열, G20 계기 7개국 연쇄 양자 회담 개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함평군‧전남도‧(주)동우, 67억원 규모 투자협약 체결
- 2대법원, 형사소송규칙 개정…이재명 사건재판도 영향
- 3미·중 AI 패권 경쟁 격화…中 빅테크들, 투자 '러시'
- 4북한, 올해도 자금세탁·테러자금 '고위험국' 지정
- 5정부, 日 '다케시마의 날' 행사 항의…"즉각 폐지 엄중 촉구"
- 6담양군수 재선거 유력후보 A씨…경선불복 ‘10년 후보 무자격’ 당헌에 발목잡히나?
- 7글로벌 제약사들 대표 만난 트럼프 "미국서 생산 않으면 관세"
- 8오세훈 "절박한 심정으로 서울시 조기 추경"
- 9트럼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전격 경질…후임 곧바로 지명
- 10트럼프, 외국 디지털 규제 조사 대응…韓도 영향 받을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