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연 2.75%로 인하·성장률 1.5% 하향 조정
금융·증권
입력 2025-02-25 17:58:09
수정 2025-02-25 17:58:09
이연아 기자
0개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연 3%에서 2.75%로 하향 조정
2년 4개월 만에 2%대 기준금리…"금리 인하로 경기 하방 압력 완화"
경제 성장률 전망치 1.9%에서 1.5%로 하향 조정
이창용 총재 "중립적 수준, 향후 상하방 요인 모두 작용"
"1.5% 이상 성장하려면 재정 정책 공조 필요"

[앵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만장일치로 기준금리 인하를 통해 경기부양에 나섰습니다. 한은은 오늘(25일) 기준금리를 2.75%로 0.25%p 인하했고,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1.5%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늘(25일)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2.75%로 0.25%p 하향 조정했습니다.
기준금리가 2%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 2022년 10월 이후 2년4개월 만입니다.
이번 금리 인하는 금통위원 전원 일치 의견인데, 무엇보다 내수부진 장기화와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수출 둔화, 저성장 우려가 커지자 경기 부양에 나선 것으로 분석됩니다.
[싱크] 이창용 / 한국은행 총재
"무엇보다 올해 중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경기 대응을 위해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했습니다."
한은 금통위는 기준금리 인하 배경에 대해 "외환시장의 경계감이 여전하지만 물가상승률 안정세와 가계부채 둔화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해 경기 하방 압력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한은 금통위는 지난해 10월, 11월 두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0.25%p씩 인하했고, 지난 달 환율 불안 등을 감안해 기준금리 동결한 바 있습니다.
한은은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0.4%p 낮춘 1.5%로 발표했습니다.
이번 성장률 전망치는 한국개발연구원(KDI) 1.6%, 정부 1.8%, 국제통화기금(IMF) 2.0%,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1%보다 낮습니다.
한은 이창용 총재는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성장률 전망에 대해 "중립적인 수준이라고 생각한다"며 "향후 상방 요인과 하방 요인이 모두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 총재는 1.5% 이상 성장하려면 재정 정책과 공조가 필요하다 밝히며, 지난 달에는 계엄 사태 등 국내 상황이 중요 요인, 이번 전망에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국거래소 신임 시장감시위원장에 김홍식 전 재정금융정책관 선임
- 토스증권 또 MTS 전산장애
- 금감원 패싱 밥먹듯 하는 JKL의 롯데손보…콜옵션 강행의 민낯
- 요동치는 대선 정국에…테마주가 점령한 코스닥
- 성장 변곡점에 놓인 BNK금융…충당금 털어도 리스크 여전
- 증권株, 동반 신고가 랠리…증시 활성화 공약 기대↑
- 엔에스이엔엠, 걸그룹 ‘어블룸’ 본격 데뷔
- 산업銀, 베트남 하노이지점 설립 본격화…6년 만에 인가접수증 발급
- 신한은행, 글로벌 선순위 외화채권 5억달러 규모 발행
- 에코아이, NH투자증권과 공동 주최 ‘제1회 카본마켓 세미나’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