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금리 인하론 우세…예대금리 시계는 거꾸로 간다
금융·증권
입력 2025-04-18 17:22:03
수정 2025-04-18 18:37:06
이연아 기자
0개

[앵커]
어제(17일) 한국은행이 환율불안과 가계부채 관리 등을 이유로 기준금리를 동결함에 따라 5월 금리인하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은행권에서는 빠른 속도로 떨어지는 예금금리와 반대로 대출금리는 4%대를 유지하며 예대금리차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어제(17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분기 첫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현 2.75%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한은은 환율 불안과 가계부채 관리 등을 이유로 기준금리 숨 고르기에 들어갔지만, 정치 불확실성 장기화 등의 영향으로 올해 1분기 역성장 우려를 내놓으면서 5월 금리 인하론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한은은 경제상황평가에서 경상수지 흑자규모 축소와 취업자 증가세 감소 등 실물경제 전반 하방 리스크 확대를 전망했는데, 5월 금리 인하를 통한 유동성 공급으로 경기 개선 마중물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은은 이미 지난해 10월부터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에 접어들었음을 명확하게 밝혔지만, 은행권에서는 예금금리와 대출금리가 서로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12개월 만기 기준 정기예금 기본금리는 연 2.15~2.75% 수준으로 전달 대비 최대 0.6%p 떨어졌습니다.
반면, 5대 은행의 지난달 기준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 평균 금리는 연 4.27~4.52%로 여전히 4%대입니다.
이는 주담대 변동금리 기준이 되는 코픽스와 은행채 등 시장금리가 하락세임에도 불구하고, 이와 반대로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올리고 우대금리를 낮춰 대출금리 문턱을 높이고 있는 겁니다.
지난달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가산금리는 3.008%로 전년 동기 대비 0.24%p 상승했지만, 반면 우대금리는 전년 동기 대비 1.03%p 하락한 1.605%입니다.
현재 금융당국은 은행권을 향해 한은의 지난해 10월부터 단행된 기준금리 인하분을 금리에 반영하라고 밝혔지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가계대출 규제 강화 기조를 유지하고 있어 추가 압박 없이 관망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증시 부양 공약에 금리 인하 호재까지…환호하는 금융株
- [이슈플러스] 7달새 네번째 금리 인하…주담대 증가세 가속화?
- 금융당국 "사모펀드 감독 강화"에 긴장하는 2금융권
- 한국투자증권, 美 법인에 3711억 조달…"현지 IB 역량 강화"
- 네이버페이, 10주년 기념 'Npay 10 페스타'…31일까지 이어진다
- 두나무, 오경석 신임 대표 내정...내달 주총서 의결
- 이석우 두나무 대표 사임…"고문으로 남아 일할 계획"
- 코스피, 2720대 마감…10개월만에 최고
- IBK기업은행, ‘I-기후동행카드’ 출시
- 은행권, 지난해 사회공헌 1조8934억 투입…전년比 16% 증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전북 순창, 사전투표 첫날 투표율 45.51% '전국 1위'
- 2부산항만공사 "올카고 그룹, 부산항 신항에 물류센터 개장"
- 3남원시관광협의회 리플러스, 감성 힐링 프로그램 '별멍달멍' 개최
- 4미라클여성의원 박동수 원장, 계명대 동산병원에 발전기금 5천만 원 기부
- 5계명대 동산병원, 정신건강 분야 적정성 평가 2개 부문 ‘1등급’ 획득
- 6의성군의회, 의성소방서와 합동소방훈련 실시
- 7의성군, 국제자매결연도시 중국 셴양시 교사·학생 대표단 방문
- 8삼성물산, 엘리엇에 2심도 이겨…“지연손해금 안줘도 돼”
- 9대구광역시, 2025년 제1차 '라이즈(RISE) 성과포럼’ 개최
- 10대구광역시, 노숙인 일자리 창출 협력사업 업무협약 체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