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1분기 당기순이익 161억원…전년比 70% 감소
금융·증권
입력 2025-05-15 10:41:12
수정 2025-05-15 10:41:12
이연아 기자
0개
건전성 지표 큰 폭 개선 성공했지만 당기순익 감소
중∙저신용대출 비중 35.0%, 고객 수 전년比 32% 증가

케이뱅크의 올해 1분기 말 수신 잔액은 27조8000억원, 여신 잔액은 16조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5.9%, 14.8% 증가했다. 케이뱅크의 1분기 말 고객은 1363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다.
수신 잔액은 은행권 수신 금리 인하와 자산 시장 위축에 따른 투자 대기자금이 유입되며 파킹통장 플러스박스에 1분기에만 약 2조2000억원의 잔액이 늘었다.
여신 잔액은 아파트담보대출과 전세대출의 안정적인 성장과 개인사업자 대출 시장 공략 강화로 성장을 이어갔다. 아파트담보대출은 부부 합산 소득을 인정하면서 고객군이 확대됐고, 전셋집 안심스캔, HF전세지킴보증 등으로 고객 만족을 높이며 성장을 이어갔다.
개인사업자 부동산담보대출 사장님 부동산담보대출은 올해 4월 말 기준 잔액 2000억원을 넘어섰다.
케이뱅크의 올 1분기 이자이익은 108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1357억원과 비교해 20% 감소했다. 케이뱅크는 가계 대출 총량 규제가 진행되는 가운데 수신 잔액이 늘며 이자 비용이 상승한 점을 원인으로 분석했다.
비이자이익은 19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5% 증가했다. ONE 체크카드 인기에 따른 발급 비용 확대, 수수료 무료 정책으로 인한 ATM 수수료 비용 증가에도 MMF 운용 수익 확대와 플랫폼광고 매출 본격화로 비이자이익의 성장을 이어갔다.
케이뱅크의 1분기 말 연체율은 0.66%로 전년 동기 0.95% 대비 개선되며, 지난 2022년 2분기 이후 3년 만에 가장 좋은 수치를 기록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61%로 전년 동기 0.87% 대비 개선됐다. 부실채권(NPL) 대비 대손충당금 비율을 나타내는 NPL커버리지 비율도 지난해 말 251.7%에서 올해 1분기 말 303.3%로 개선, 은행권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케이뱅크의 1분기 평균 중∙저신용대출 비중은 35.0%로 직전 분기 35.3%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관리 기준 30%를 웃돌며 인터넷은행 최고 수준을 유지했다.
1분기 순이자마진(NIM)은 1.41%,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은 14.39%를 기록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1분기 적극적인 건전성 제고 노력으로 주요 건전성 지표가 크게 개선되는 성과를 거뒀다”며 “이를 바탕으로 성장을 이어가는 동시에 AI 등 기술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상생 금융 실천을 위해 더욱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케이뱅크는 AI Powered bank를 선언하며 AI 인프라 투자를 적극 확대하고 있다. 지난 2월 인터넷은행 최초로 금융 특화 프라이빗 LLM(Large Language Model)을 도입한 데 이어, 3월 금융권 최초로 AI 보이스피싱 실시간 탐지 기술을 적용했다. 케이뱅크는 올해 연간으로 지난해 약 3배 수준의 AI와 클라우드 투자를 단행할 예정이다. / yal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상상인저축 M&A 무산…저축은행 재편 '안갯속'
- "기대 너무 컸나"…세제안 실망에 증시 급락 전환
- 금융사 교육세율 인상…초과이익 환수 시동
- 김성태 기업은행장 " 中企 금융 양적·질적 선도·내부통제 강화할 것"
- 한화자산운용, 'PLUS 고배당주' ETF 주당 분배금 6.5% 인상
- 토스증권, '서버 개발자' 집중 채용…8월 17일까지 접수
- 상장 앞둔 에스엔시스 “글로벌 조선해양산업 대표기업 될 것”
- 삼성자산 'KODEX AI전력 ETF 2종' 순자산 1조원 돌파
- "스피어, SpaceX와 특수합금 장기 공급 계약…美 관세 무관 전망"
- NH투자증권, 유입 자금과 IMA 사업 수익에 시차…목표가↓-한투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장수작은도서관' 이전…주민문화공간으로 재탄생
- 2최훈식 장수군수, 폭염 대비 축산농가 현장 점검
- 3고창군, 인천공항행 시외버스 하루 5회 '증편 운행'
- 4김천시, ‘2025 김천김밥축제’ 참여업체 공개 모집
- 5원자력환경공단, 원자력연구원과 고준위 방폐물 기술개발 업무협약 체결
- 6경주시-포스코-경북도, SMR 1호기 경주유치 협약 및 원전활용 협력키로
- 7김천시, 하반기 민생경제 회복 앞당긴다
- 8영천시, 주요관광지 등 QR코드 부착으로 관광객 편의 강화
- 9이강덕 포항시장 “포항 미래 성장 이끌 핵심 현안 사업 추진에 만전 기해야"
- 10용인 기흥구 초대형 데이터센터건립...시민은 우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