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사 없이 mRNA 백신 접종’ 쿼드메디슨 기술, 글로벌 백신포럼서 조명
경제·산업
입력 2025-06-20 15:29:03
수정 2025-06-20 15:29:03
김수윤 기자
0개
마이크로니들 기반 mRNA 백신 기술 글로벌 주목

[서울경제TV=김수윤 인턴기자] 마이크로니들 플랫폼 전문기업인 쿼드메디슨은 지난 19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개최된 제6차 글로벌 백신 포럼에서 백신 마이크로니들 플랫폼 기술에 대한 최신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차세대 백신 기술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과 국제백신연구소(IVI)가 공동 개최했으며, 'mRNA 및 백신 플랫폼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백신 개발 전략과 기술 진보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 자가 증폭형 mRNA 플랫폼 ▲ AI 기반 백신 구조 예측 ▲ 모바일 제조 시스템 ▲ 이온성 지질 기반 전달체 ▲ MAP(마이크로니들 어레이패치) 등 다양한 차세대 기술들이 집중 조명됐으며, CEPI(감염병대비혁신연합)는 ‘100 일 미션(100 Days Mission)’ 전략을 소개하며 팬데믹 상황에서의 신속 백신 개발을 위한 글로벌 협력 방향을 제시했다.
허혜진 쿼드메디슨 중앙연구소장 박사는 글로벌 백신 플랫폼의 미래를 조망하는 ‘Emerging Vaccine Platform: From Concept to Reality’ 세션에서
허혜진 연구소장은 “쿼드메디슨의 마이크로니들 플랫폼은 통증 없이 자가 접종이 가능하며, 특히 저온 유통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mRNA백신과 같은 민감한 제형의 안정적 전달이 가능하다”며 “향후 글로벌 보건 위기에 대응할 핵심 백신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쿼드메디슨의 MAP 기술은 백신뿐만 아니라 다양한 바이오 의약품으로 확장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기존 주사 대비 접종 편의성과 유통 효율성을 크게 개선하면서도 품질 관리된 생산 공정 GMP 등 상업화를 위한 기반 역시 탄탄하다는 점이 부각됐다.
쿼드메디슨 관계자는 “코로나 19 팬데믹을 통해 전 세계는 백신의 개발 속도뿐만 아니라 ‘접종의 방식’ 또한 공중보건 전략에서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체감했다”며 “마이크로니들은 mRNA를 포함한 다양한 백신 플랫폼의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핵심 기술이며, 글로벌 보건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제약바이오협회, 생성형 AI 접목 ‘ETC 마케팅 심화과정’ 개설
- 동국제약, 숙취해소제 ‘이지스마트 구미츄’ GS25·CU 입점
- 고려아연, 10년간 1745명 노원구 청소년에 장학금 지원
- 솔리드스톤, 프리미엄 VIP 멤버십 서비스 공식 출시
- 대웅제약 나보타, 쿠웨이트 수출 계약 체결…“중동 대표 톡신 거듭”
- 풀무원, ‘바릴라 파스타 챔피언십 APAC’ 한국 본선 성료
- KT, 통화매니저 민원 응대 보호 기능 확대
- KGM, 2분기 영업익 179억원…전년比 70.5%↑
- LG에너지솔루션 2분기 영업익 4922억원…전년 대비 152%↑
- “지방도 국평 분양가 평균 6억”…‘힐스테이트 환호공원’ 선점 경쟁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제약바이오협회, 생성형 AI 접목 ‘ETC 마케팅 심화과정’ 개설
- 2동국제약, 숙취해소제 ‘이지스마트 구미츄’ GS25·CU 입점
- 3고려아연, 10년간 1745명 노원구 청소년에 장학금 지원
- 4솔리드스톤, 프리미엄 VIP 멤버십 서비스 공식 출시
- 5전남 화순 전파된 손흥민 선수 성공 비결 "삶을 대하는 태도 다시 생각하게 해"
- 6인천시, 여름철 오존 오염 대응 강화
- 7부천시, 중년 여성 갱년기 건강지원 본격화
- 8부천시, 한중일 청소년 교류의 장 열어
- 9김정헌 인천 중구청장, 산사태 취약지 점검
- 10인천 연수구, 드림스타트 아동 소방안전교육 진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