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안되는 ‘軍 로봇’ 개발?…수익성 강화 과제
경제·산업
입력 2025-08-12 17:26:12
수정 2025-08-13 00:10:37
김보연 기자
0개

[앵커]
국내 방산 기업들이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군(軍) 로봇 개발에 뛰어들고 있지만 실적은 신통치 않은 모습입니다. 수천억원의 자금을 투입하고 있지만 로봇 시장이 개화하려면 시간이 좀 더 걸리는데다가, 킬러 로봇에 대한 윤리적인 문제, 인공지능(AI) 오작동 등 우려로 본격적인 수익으로 이어지기까지 시간이 걸릴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김보연 기잡니다.
[기자]
국내 방산 기업들이 군용 로봇 전문 기업을 인수하거나 자체 연구를 통해 로봇 개발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오는 2030년 세계 군용 로봇 시장이 45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향후 군 로봇 도입에 속도가 날 것이라는 분석.
전투 로봇은 최근 전장에서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군은 대형 공격용 로봇 등 최초의 중대 규모 전투로봇 부대(하르티야 중대)를 실전에 배치했고, 중국은 지난해 합동 군사훈련에서 기관총을 장착한 로봇개를 선보였습니다.
국내에선 LIG넥스원이 미국의 4족 보행 군용로봇 전문 기업 고스트로보틱스(GRC) 지분 60%를 3260억 원에 인수하며 본격적인 전투 로봇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로봇 군견으로 불리는 GRC의 사족 보행 로봇을 통해 미국 등 글로벌 방산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군용 로봇 국책사업으로 로봇개 개발에 나섰습니다. 상업용에만 초점을 맞췄던 과거와 달리 군 납품 목적을 두고 로봇을 개발 중입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군용 로봇 시장에 도전장을 냈습니다. 폭발물탐지제거로봇을 개발 중인데, 이 로봇은 지뢰탐지기, X-ray 투시기, 케이블 절단기 등 다양한 장비를 조작팔에 자동으로 탈·부착할 수 있어 뛰어난 운용 편의성이 갖출 전망입니다.
기업들이 새 먹거리로 군 로봇 투자에 나서고 있지만 수익을 보려면 시간이 더 걸릴 전망입니다.
실제로 GRC는 지난해 말 기준 자산(319억원)보다 부채(480억원)가 더 많은 자본잠식 상태인데, 올해 1분기 40억원에 이어 2분기에도 140억원의 영업손실을 냈습니다.
증권사들은 GRC에 3000억 넘게 투자한 LIG넥스원에 대해 투자 의견을 하향하기도 했습니다.
아직 2분기 실적을 발표하지 않은 레인보우로보틱스도 비슷한 상황입니다. 1분기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은 각각 16억원, 9억원으로 적자로 돌아섰고, 영업이익률은 –38.64%입니다.
전투 로봇 시대가 다가오면서 킬러 로봇에 대한 윤리적인 문제, AI 오작동 등 안전 문제까지 풀어야할 숙제도 남아 있어 국내 방산기업들의 본격적인 수익원으로 자리잡기까진 시간이 다소 걸릴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서울경제TV 김보연입니다. /boyeon@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9·7 부동산대책] LH, 땅 안 팔고 직접 짓는다…공공이 공급 중심으로
- [9·7 부동산대책] 2030년까지 수도권 135만호 착공…“LH 직접 개발로 속도 낸다”
- 농식품부, 계란값 우려에 산란계 '사육 면적 확대' 최대 2년 늦춰
- 쿠팡 "입점 소상공인, 중소기업으로 성장한 업체 1만개 넘어"
- LG, '에이머스 해커톤' 대회 개최…상위 3개팀에 입사 시 혜택
- 대한항공, '보잉777-300ER 항공기' 이코노미석 배열 개조 철회
- 스타벅스, '하반기 바리스타 공개 채용'…14일까지 접수
- LPG협회-르노코리아, 'LPDi 하이브리드차' 양산 개발 위한 MOU 체결
- LG엔솔 인사책임자, 美구금 현장 대응 위해 출국…"조기 석방이 최우선"
- 카카오, AI 네이티브 비전 공개…"AI는 기능 아닌 운영체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5년 앞으로 다가온 오사카 카지노, 강원랜드의 생존 전략은?
- 2포항시, 동방경제포럼서 영일만항 북극항로 대응 전략 모색
- 3포항시, 경북 무형유산대전서 우수 전통문화 가치 전해
- 4포항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금융지원 본격화
- 52025 영천문화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시민 화합 무대
- 6경주지역자활센터, 보건복지부 평가 ‘우수기관’선정
- 7경주시, ‘월드음식점 150곳’ 선정…APEC 손님맞이 준비 박차
- 8경주시민 10명 중 8명 “시정 만족”…민선 8기 3주년 성과 확인
- 9김천시새마을회, 2025 새마을 환경 페스타 성황리 개최
- 10LH, 땅 안 팔고 직접 짓는다…공공이 공급 중심으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