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장애인 인구 60%가 고령층..."경기도, 일자리 해법 찾을 때"

전국 입력 2025-08-19 17:19:59 수정 2025-08-19 17:19:59 강시온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고령화 속도, 전체 인구보다 훨씬 빨라

(사진=경기도 31개 시군별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자 현황)
[서울경제TV 경기=강시온 기자]

경기도 장애인 인구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일자리 정책의 새로운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고령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18.2%에 불과하지만, 장애인 인구는 54.3%에 달한다. 불과 3년 전(2020년 49.9%)과 비교해도 4.4%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지난 12년간 15.5%포인트가 늘어나는 등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다.

경기도 역시 전국 평균과 크게 다르지 않다. 도내 장애인 인구 58만 4천여 명 가운데 60세 이상은 61.3%에 달한다. 세부적으로 보면 60~69세(23.9%)가 가장 많았고, 이어 70~79세(19.9%), 80~89세(15.0%), 90세 이상은 2.5%를 차지했다. 이처럼 장애인 고령화가 뚜렷해지면서, 노동시장과 고용 환경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복지형 일자리 쏠림…지역 불균형 심화
경기도 장애인 일자리의 특징은 특정 유형과 지역에 편중돼 있다는 점이다.

장애인 고용은 주로 복지형 일자리에 집중돼 있으며, 신체적 제약을 지닌 지체장애인 중심으로 형성돼 있다. 실제로 2022년 기준 도내 장애인 일자리 참여자 가운데 복지형 일자리가 35.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또 다른 문제는 지역 불균형이다. 수원시, 고양시, 성남시 등 대도시에 고령 장애인이 몰려 있는 반면, 연천·가평·포천 등 북부와 농촌 지역은 참여율이 현저히 낮다. 일자리 유형도 지역별로 달라 수원은 전일제, 고양은 시간제, 용인은 복지형 일자리에 집중되는 양상이 뚜렷하다.

고령 장애인 맞춤형 정책..."여전히 부족"
장애인 고용정책은 대체로 단기·단순 업무 중심의 복지형 일자리에 머물고 있다. 특히 급격히 늘고 있는 고령 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 설계는 턱없이 부족하다. 연령대별 고용 형태 양극화도 심화되고 있다. 청년층은 비교적 전일제·시간제 일자리 진입이 가능하지만, 고령층은 제한적인 복지형·단순노무형 일자리에 쏠리는 구조다.

이는 곧 장애인 노동시장 전반의 질적 한계를 드러내는 대목이다. 경기도 장애인 고용정책은 이제 단순한 일자리 ‘창출’을 넘어, 연령·장애 유형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일자리 체계’로의 전환이 절실하다.

새로운 정책 대응과제 필요...네 가지 대응과제 제시
전문가들은 경기도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대응과제를 서둘러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고령 장애인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일자리 개발, 전 생애주기를 고려한 통합 고용지원 체계 구축, 직업능력 개발을 통한 고용의 질적 향상, 디지털 역량 강화와 비대면 일자리 확대 등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만큼, 고령 장애인이 새로운 기술에 적응할 수 있도록 디지털 교육 인프라 구축과 비대면 일자리 발굴이 필수라는 평가다.

경기도 장애인 고용정책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명확하다. 단순히 일자리의 숫자를 늘리는 데 그칠 것이 아니라, 질적 개선과 지역 균형, 맞춤형 지원을 통해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rkdtldhs082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강시온 기자

rkdtldhs0826@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