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상승세는 구조적 요인…올해 말 4000달러 가능성"
경제·산업
입력 2025-09-09 08:53:01
수정 2025-09-09 08:53:01
강지영 기자
0개
신한투자증권 분석
"연준의 독립성 훼손되면 5000달러 이를 수 있어"

[서울경제TV=강지영 인턴기자] 신한투자증권은 9일 최근 금 가격 강세에 대해 구조적 상승 원인이 있다고 진단했다. 신규 매수 주체로 상장지수펀드(ETF)가 등장한 가운데, 금융억압 정책 헤지를 위해 금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면서 올해 말 온스당 4000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하건형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금 가격 상승 동인으로 약달러와 금리 인하 기대로 거론된다"며 "이런 점이 금 가격 상승에 일조하긴 했으나 지배적 요인은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지난 2∼4일 금 가격 랠리에는 약달러가 동반됐으나 8일 이후 달러화 약세가 주춤한 상황이다. 금리 인하 기대 역시 최근 고조되긴 했지만, 지난 5∼6월 관세 충격으로 발생한 금리 인하 기대 수준과 유사하다는 것이 하 연구원의 설명이다.
하 연구원은 금 가격 강세에는 구조적 상승 원인이 자리한다고 봤다. 그는 "먼저 세계 분절화 심화로 주요국 중앙은행이 금 매수에 나섰다"면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각국 중앙은행은 2010년대 중후반에 비해 금 매수 규모를 늘렸다"고 전했다. 또 작년에 비해 순증 폭은 감소했지만, 올해는 금의 신규 매수 주체로 상장지수펀드(ETF)가 등장했다고 부연했다.
하 연구원은 "주요 선진국의 인위적 저금리 유도로 대표되는 금융 억압 정책으로 재정건전성 우려와 물가 우려가 커지면서 금 매수를 자극했다"면서 "이로 인해 채권 기간 프리미엄 상승과 함께 금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세계 분절화 심화에 따른 중앙은행 금 매수세, 금융억압 정책 부작용 헤지(위험회피)를 위해 금 매수세가 이어지는 한 금 가격 상승세는 유지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최근 금 가격 상승에도 여전히 10% 이상 상승 여력이 있다"면서 "실질금리와 달러화 약세에 더해 구조적 상승 요인 등을 고려하면 올해 말 금 가격의 모형가격(적정 이론가격)은 4000달러에 육박한다"고 분석했다.
지난 5일 국제 금값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 만기 금 선물 종가는 온스당 3653.3달러로 전장보다 1.3% 올랐고, 금 현물 가격은 1.4% 오른 온스당 3596.6달러에 거래됐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연준의 독립성이 훼손되고 이에 따라 투자자들이 미국채의 투자 비중을 금으로 일부 조정할 경우 금값이, 온스당 5000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jiyo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기보, 강원테크노파크 맞손…강원지역 기술기업 육성 지원
- 에코디엠랩, OEM·ODM 의존 없는 독자 생산으로 초음파 기술력 강화
- 현대차, IAA 모빌리티 2025서 ‘콘셉트 쓰리’ 최초 공개
- 뉴로핏, 일본 의료센터와 ‘뉴로핏 아쿠아’ 공급 계약…해외 시장 진출 본격화
- 전고체·LFP 배터리 시대, CNT가 바꾸는 판도
- 법원, 위메프 회생절차 폐지 결정…파산 수순
- 사페레아우데, ‘2025 마중 프로그램’ 최종 선정
- HJ중공업, 올 들어 첫 컨선 수주…6400억 규모
- 듀오, 슈카월드와 브랜드 콘텐츠 공개…닷새 만 화제성 입증
- KT에스테이트, 종로구청과 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 나선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기보, 강원테크노파크 맞손…강원지역 기술기업 육성 지원
- 2목포시, 올해 시민의 상 수상자 선정
- 3강원랜드 사회공헌재단, 폐광지역 아동·청소년 위해 2341만 원 기탁금 전달
- 4에코디엠랩, OEM·ODM 의존 없는 독자 생산으로 초음파 기술력 강화
- 5완도 유소년 야구단, 고향사랑기부금으로 날개 단다
- 6현대차, IAA 모빌리티 2025서 ‘콘셉트 쓰리’ 최초 공개
- 7뉴로핏, 일본 의료센터와 ‘뉴로핏 아쿠아’ 공급 계약…해외 시장 진출 본격화
- 8전고체·LFP 배터리 시대, CNT가 바꾸는 판도
- 9이대목동병원, 이뮤니크와 업무협약 체결
- 10이권재 오산시장, 동탄 물류센터 건립계획 규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