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파인텍, 1000 패럿 슈퍼커패시터 실증 성공
금융·증권
입력 2025-09-30 09:39:53
수정 2025-09-30 09:39:53
권용희 기자
0개
드론·방산·전기차 등 적용 기대
[서울경제TV=권용희기자] 대성파인텍은 약 5kg 수준의 소형 단일 슈퍼커패시터 셀에서 정격전압 16.2~16.5V, 1000 패럿(Farad) 용량 구현에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1 패럿은 슈퍼커패시터가 1볼트 전압에서 1쿨롱(C)의 전하를 저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반 커패시터가 수 피코패럿(pF)~수백 마이크로패럿(μF) 용량 단위인 것과 달리, 슈퍼커패시터는 재료 기술과 표면적 극대화 설계를 통해 수십~수천 패럿 규모의 대용량 구현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성파인텍은 셀 자체 대형화를 통해 직병렬 연결을 최소화하고, 발열·발화, 자가 방전 문제도 개선했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기존 단일 셀을 이용한 경우 수일 내 전압이 소실됐으나, 이번 개발 제품은 15~20일 이상 전압을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대성파인텍 관계자는 이번 기술이 순간 출력이 중요한 드론, 방산 장비, 로봇 시스템부터 전기차 및 일반 차량 보조 전원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버스 정류장·도로 하부 무선 충전기 등 차세대 충전 인프라에 적용될 경우, 배터리 기반 대비 설치 효율과 안정성이 향상될 것으로 내다봤다.
슈퍼커패시터 시장은 전기차, ESS(에너지저장장치), 스마트 인프라 확산과 맞물려 성장세가 전망된다. 대성파인텍은 초기 타깃 시장으로 자동차 전장, ESS 주파수 조정, 방산·드론 전력 시스템을 설정했으며, 장기적으로는 대규모 ESS와 공공 인프라 전력망까지 활용 범위를 넓힌다는 계획이다.
회사는 현재 창원 공장에 시제품 생산 설비를 갖추고 성능 검증을 진행 중이다. 향후 직병렬 구조 최적화, 원가 절감, 수율 안정화를 통해 양산 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소형 고용량 셀을 기반으로 전기차용 대형 모듈, ESS 맞춤형 모듈, 드론·방산용 경량 모듈 등 파생 제품 개발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김병준 대성파인텍 대표는 “무게당 에너지 밀도를 기존 대비 4배 높인 데 이어 16.2V의 단일 셀에서 1000 패럿 구현에 성공했다”며 “성능 검증과 양산 체제를 조속히 마무리해 전기차, ESS, 충전 인프라 등 다양한 시장에서 상용화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yongh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삼성重, 아모지 '암모니아 파워팩' 국내 독점 생산
- 2SSG닷컴, 겨울 제철 신선식품 할인 행사 진행
- 3CGV, 윤가은 감독 단편영화 ‘콩나물’ 12일부터 상영
- 4롯데마트, 국산 품종 ‘호풍미 고구마’로 겨울 간식 공략
- 5한국앤컴퍼니그룹, ‘가족과 함께하는 벽화 그리기’ 임직원 봉사활동
- 6현대백화점, 비클린 스페셜 위크 행사 진행
- 7만트럭버스코리아, 동절기 대비 'MAN 서비스데이' 무상 점검 행사
- 8CJ제일제당 ‘백설 10분쿡’, 콘텐츠 영상 1000만뷰 돌파
- 9롯데온, NPB 브랜드 ‘트윈웨일’ 공개…글로우 케어 시장 공략
- 10볼보차코리아, 푸르메재단과 장애 어린이 가족 초청 ‘뽀로로 싱어롱쇼’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