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밖 심정지, 골든타임 ‘30분’이 生死가른다

건강·생활 입력 2025-10-14 15:00:16 수정 2025-10-14 15:00:16 이금숙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119 신고 후 응급실 도착까지 걸린 시간에 따른 환자의 경과를 비교한 결과, 30분 내 이송 환자는 40분을 초과하여 이송된 환자와 비교해 병원 내 사망률 및 심각한 뇌 손상률이 현저히 낮았다. [사진=용인세브란스병원]


[서울경제TV=이금숙기자] 30분 이내 응급실 이송이 병원 밖에서 발생한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인다는 사실이 대규모 국가 데이터 분석을 통해 명확히 입증됐다.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연구팀은 2016년부터 2021년 사이 국내에서 발생한 병원 밖 심정지 환자 7만 6505명의 데이터를 확인했다.

심장내과 이오현‧배성아‧김용철 교수, 연세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허석재 박사 연구팀은 119 응급의료서비스 호출 후 응급실 도착까지 걸린 시간에 따라 환자를 ▲1분위(25분 이하) ▲2분위(26~30분) ▲3분위(31~39분) ▲4분위(40분 이상)로 나눠 경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환자의 생존율 및 신경학적 경과는 30분을 기점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응급실 도착까지 40분 이상 걸린 환자와 비교했을 때, 26~30분 이내 이송 환자는 병원 내 사망률과 심각한 뇌 손상률이 약 53% 낮았다. 25분 이내 응급실 도착 환자는 병원 내 사망률이 약 70% 낮고, 심각한 뇌 손상률은 68% 가량 낮게 나타나는 등 압도적인 생존 우위를 보였다. 

연구팀은 응급실 도착 시간 지연에 따른 누적된 효과도 추가로 확인했다. 응급실 이송이 5분 늘어날 때마다 병원 내 사망률은 약 16%, 심각한 뇌 손상률은 약 14% 증가했다. 이는 현장에서 수행한 목격자 심폐소생술,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여부 등 다양한 변수를 보정한 결과로, 응급실 도착까지의 소요 시간이 이들 변수와 무관하게 생존을 결정짓는 독립적 요인임을 보여준다.

이오현 교수는 “연구를 통해 현장에서 최선의 응급처치를 하더라도 병원 도착이 지연되면 생존율 향상과 뇌 손상 회복에 한계가 있음을 밝혔다”라며 “이는 응급실 도착 후 시행하는 전문적인 소생술, 체온 관리, 관상동맥중재술 등 고도 치료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강조했다.

김용철‧배성아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골든타임의 개념을 명확한 수치적 근거를 기반으로 입증한 국내 첫 대규모 연구”라며 “심정지 환자 치료에서 막연히 ‘빨리’가 아닌 ‘30분’이라는 구체적 목표를 설정할 수 있게 된 것이 핵심 성과”라고 설명했다.

본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Mayo Clinic Proceedings’ 10월호에 게재됐으며, 향후 국내 응급의료체계 개선과 심정지 환자 치료 지침 마련에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ksl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이금숙 기자

kslee@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