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밖 심정지, 골든타임 ‘30분’이 生死가른다
건강·생활
입력 2025-10-14 15:00:16
수정 2025-10-14 15:00:16
이금숙 기자
0개

[서울경제TV=이금숙기자] 30분 이내 응급실 이송이 병원 밖에서 발생한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인다는 사실이 대규모 국가 데이터 분석을 통해 명확히 입증됐다.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연구팀은 2016년부터 2021년 사이 국내에서 발생한 병원 밖 심정지 환자 7만 6505명의 데이터를 확인했다.
심장내과 이오현‧배성아‧김용철 교수, 연세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허석재 박사 연구팀은 119 응급의료서비스 호출 후 응급실 도착까지 걸린 시간에 따라 환자를 ▲1분위(25분 이하) ▲2분위(26~30분) ▲3분위(31~39분) ▲4분위(40분 이상)로 나눠 경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환자의 생존율 및 신경학적 경과는 30분을 기점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응급실 도착까지 40분 이상 걸린 환자와 비교했을 때, 26~30분 이내 이송 환자는 병원 내 사망률과 심각한 뇌 손상률이 약 53% 낮았다. 25분 이내 응급실 도착 환자는 병원 내 사망률이 약 70% 낮고, 심각한 뇌 손상률은 68% 가량 낮게 나타나는 등 압도적인 생존 우위를 보였다.
연구팀은 응급실 도착 시간 지연에 따른 누적된 효과도 추가로 확인했다. 응급실 이송이 5분 늘어날 때마다 병원 내 사망률은 약 16%, 심각한 뇌 손상률은 약 14% 증가했다. 이는 현장에서 수행한 목격자 심폐소생술,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여부 등 다양한 변수를 보정한 결과로, 응급실 도착까지의 소요 시간이 이들 변수와 무관하게 생존을 결정짓는 독립적 요인임을 보여준다.
이오현 교수는 “연구를 통해 현장에서 최선의 응급처치를 하더라도 병원 도착이 지연되면 생존율 향상과 뇌 손상 회복에 한계가 있음을 밝혔다”라며 “이는 응급실 도착 후 시행하는 전문적인 소생술, 체온 관리, 관상동맥중재술 등 고도 치료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강조했다.
김용철‧배성아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골든타임의 개념을 명확한 수치적 근거를 기반으로 입증한 국내 첫 대규모 연구”라며 “심정지 환자 치료에서 막연히 ‘빨리’가 아닌 ‘30분’이라는 구체적 목표를 설정할 수 있게 된 것이 핵심 성과”라고 설명했다.
본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Mayo Clinic Proceedings’ 10월호에 게재됐으며, 향후 국내 응급의료체계 개선과 심정지 환자 치료 지침 마련에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ksl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분당차병원, 근시 건강강좌 개최
- 연세사랑병원, 복지부 신의술 승인 AI 기반 ‘니비게이트’ 인공관절 수술 시행
- 집에서 찍은 1분 영상만으로…아이 자폐 위험 조기 선별
- 평택성모병원,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씽크’ 도입
- 서울대병원, 이종조직판막 인간 재세포화 성공
- 고려대안산병원 서보경 교수, 유럽유방영상의학회 최다 인용 논문상 수상
-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차세대 척추 전문의 양성을 위한 척추내시경수술 워크숍’ 성료
- GLP-1 당뇨약 ‘오젬픽’ 건강보험 급여 물살…‘위고비’는?
- 경희대병원, ‘통풍, 바로 알기’ 건강강좌 개최
- 조기 폐암, '폐 기능' 살리는 정밀 수술 가능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연천군·경기도, ‘2029 세계 구석기엑스포’ 공동 개최 추진
- 2김동연지사, “소방학교 북부캠퍼스…재난 대응 패러다임 바꿀 것”
- 3인천대교 통행료 '숨은 세금' … 특정 이용자 혜택 논란
- 4부산도시공사, '2025 부산도시재생박람회' 16~17일 개최
- 5진주남강 유등축제 개막…가을밤 밝힌다
- 6고려아연, 희토류 통제 반사이익…주가 20% '껑충'
- 7국감 출석 MBK 김병주…“홈플러스 회생 책임 다할 것”
- 8반도체 호황 불구 美·中 갈등 재점화...증시 롤러코스터
- 9SK그룹, 中企에 핵심 기술 이전…“사업화도 지원”
- 10“구관이 명관”…게임업계, 신작 흥행 부진에 전략 선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