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소상공인 10곳 중 1곳만 AI 활용

경제·산업 입력 2025-11-24 13:00:16 수정 2025-11-24 13:00:16 이수빈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AI 도입 최대 애로는 도입비용 부담

[사진=중소기업중앙회]
[서울경제TV=이수빈 기자]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 서울지역본부는 서울 소상공인 10곳 중 1곳이 현 사업장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중기중앙회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서울시 소상공인 AI 인식 및 활용 수준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서울시 소상공인 300개사를 대상으로 9월 10일부터 18일까지 실시됐다. 

조사 결과, 현 사업장에서 AI를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9.7%에 그쳤으며, 향후 활용 계획이 있다는 응답은 23.0%, 활용 경험이나 계획이 전혀 없다는 응답은 67.3%로 나타났다. 이는 AI의 개념은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도입이 여전히 제한적임을 보여준다.

AI 개념 이해 수준은 △잘 이해한다(24.7%), △어느 정도 이해한다(41.3%) 등 전체의 66.0%가 인식하고 있었고, AI 활용에 대한 관심도는 매우 관심 있다(21.0%), △어느 정도 있다(40.7%) 등 61.7%로 비교적 높았다. 다만, 인식과 관심이 실제 도입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주요 원인은 도입비용 부담과 기술 역량 부족으로 분석됐다.

AI 도입 과정에서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도입비용 부담(69.0%)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뒤로 △AI 관련 지식·인력 부족(30.7%), △기존 시스템과의 연계 어려움(23.0%)이 뒤를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상공인들이 AI의 필요성과 효용성은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나, 초기 비용 부담이 실제 도입을 가로막는 핵심 요인임을 보여준다. 조사대상 사업체 중 69%는 “AI가 필요 하지만 비용이 부담된다”고 응답, 정책적 재정지원의 필요성을 확인시켰다.

AI 활용을 위한 지원정책에 대해서는 △실습 중심 훈련(47.7%)을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 △성공사례 및 정보 제공(41.0%), △기초·실무교육’(30.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응답자의 절반 이상(54.7%)이 “서울시 차원의 직접적인 재정지원이 필요하다”고 답변해, 실질적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뚜렷했다.

한편, 동시에 조사한 노란우산공제에 대한 만족도는 85.7%로 높았으며, 복지 서비스 확대(46.7%) 및 지원사업 연계 강화(63.0%)를 요구하는 의견이 다수였다.

응답자의 70.8%가 “소득공제 혜택”에 가장 만족한다고 답했으나, “복지서비스 접근성 강화”, “기여금 한도 확대” 등의 개선 요구도 제기되었다. 이는 노란우산 제도가 단순한 공제금 제도를 넘어 복지와 경영안정이 결합된 통합형 사회안전망으로 발전해야 함을 시사한다.

박종석 서울지역회장은 “이번 조사는 서울시 소상공인의 AI 활용 현황과 정책 수요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라며, “서울시와 중기중앙회가 협력하여 AI 기반 경영환경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노란우산 제도를 복지와 디지털 지원이 결합된 종합 안전망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이수빈 기자

q00006@naver.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