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기업과 인권 포럼’ 참석해 기술 공공 기여 사례 발표
경제·산업
입력 2025-11-26 13:59:43
수정 2025-11-26 13:59:43
오동건 기자
0개
[서울경제TV=오동건 인턴기자] 카카오는 지난 24일부터 3일간 UN 산하 인권최고대표 주최 ‘제 14차 UN 기업과 인권 포럼’에 참석해 인권 기반 AI와 기술의 공공 기여 사례에 대해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UN 기업과 인권 포럼은 2011년 채택된 UN 기업과 인권 이행원칙(UNGPs)의 실천을 위해 매년 개최하는 글로벌 회의로, 정부 관계자와 기업을 비롯해 지역공동체, UN 기구, 인권단체, 학계 등의 이해관계자가 함께 참석한다.
카카오는 '인공지능 시대의 인권 증진' 세션에 참여했으며, 하진화 AI Safety 시니어 매니저는 발표를 통해 “카카오는 AI 기술 개발 및 운영 전 과정에 인권 보호 체계를 접목하고 있으며, 한국어와 문화 맥락에 최적화된 AI 가드레일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등 공공 조달의 신뢰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카카오는 AI기술의 개발과 서비스 출시, 운영 등에 이르는 과정에 인권 관점을 내재화한 거버넌스를 운영하고 있다. 카카오 그룹의 ‘안전한 AI를 위한 핵심 체크리스트’는 국가인권위원회가 개발한 ‘AI 인권영향평가 도구’를 주요 참고문헌 중 하나로 지정해 제작했으며, 그룹 AI 윤리 원칙인 ‘카카오 그룹의 책임 있는 AI를 위한 가이드라인’은 인권을 명시적 원칙으로 포함하며, 관련한 다양한 항목을 다각도로 반영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아동·청소년 보호 체크리스트’의 경우 유니세프(UNICEF)의 디지털 아동 영향평가(Digital Child Impact Assessment)를 참고해 개발했다.
카카오는 이러한 내부 기준을 OHCHR(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 AI Alliance 등 글로벌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국제적 기준과의 정합성을 지속적으로 맞춰가고 있다.
이 밖에도 카카오는 안전한 AI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오픈소스로 공개해 공적 기여를 확대하고 있다. 지난 5월 AI 서비스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는 AI 가드레일 모델 ‘Kanana Safeguard’를 개발했으며, 생태계 기여를 위해 국내 기업 최초로 오픈소스로 공개하기도 했다. 현재 카카오의 주요 AI 서비스에 적용돼 있다.
김경훈 카카오 AI Safety 리더는 “AI 기술 개발과 서비스 운영의 측면에서 이용자 보호를 최우선의 가치로 여기며 관련 정책을 고도화하고 있다”라며 “기술의 투명성 확보와 공공 기여 확대를 통해 IT기업으로서 인권 존중을 선도하고, 지속 가능한 기술 생태계와 사람 중심의 AI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oh19982001@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롯데, CEO 20명 교체…'오너 3세' 신유열 바이오 각자대표
- 올투딜리셔스, ‘오리지널 브랜드 허브’ 선언…글로벌 F&B 시장 도약
- 롯데-HD현대, 대산 NCC 설비 통합…석화 구조개편 1호
- 한전KDN,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평가 결과 ‘AA’ 최고 등급 획득
- 롯데GRS,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유공 포상 수상
- 바이러스디자인, 발달장애인 양치 어려움 해결 위한 칫솔 출시
- 롯데웰푸드, ‘효녀 심청 신제품 출시 프로젝트’ 품평회 성료
- 아산탕정지구 마지막 입지, ‘아산탕정 동일하이빌 파크레인’ 미래가치 주목
- 우미건설, '화성 남양뉴타운 우미린 에듀하이' 본격 분양
- 한화 건설부문, 협력사와 상생 강화…"간담회 정례화"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롯데, CEO 20명 교체…'오너 3세' 신유열 바이오 각자대표
- 2올투딜리셔스, ‘오리지널 브랜드 허브’ 선언…글로벌 F&B 시장 도약
- 3롯데-HD현대, 대산 NCC 설비 통합…석화 구조개편 1호
- 4한전KDN,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평가 결과 ‘AA’ 최고 등급 획득
- 5롯데GRS,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유공 포상 수상
- 6카카오, ‘기업과 인권 포럼’ 참석해 기술 공공 기여 사례 발표
- 7바이러스디자인, 발달장애인 양치 어려움 해결 위한 칫솔 출시
- 8롯데웰푸드, ‘효녀 심청 신제품 출시 프로젝트’ 품평회 성료
- 9아산탕정지구 마지막 입지, ‘아산탕정 동일하이빌 파크레인’ 미래가치 주목
- 10우미건설, '화성 남양뉴타운 우미린 에듀하이' 본격 분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