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개혁 나선 농협중앙회, 내달 인사로 고강도 쇄신

금융·증권 입력 2025-11-26 18:20:49 수정 2025-11-26 18:25:17 이연아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구조개혁 나선 농협중앙회, 내달 인사로 고강도 쇄신
[앵커] 
농협중앙회가 범농협 혁신TF를 발족하고 조직개편 등의 내용을 담은 고강도 쇄신안을 발표했습니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쇄신안의 성패를 가를 첫 분수령이 다음 달 인사가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농협중앙회가 최근 범농협 혁신TF를 발족하고, 고강도 쇄신안을 발표했습니다.

중앙회는 “이번 개편은 과거 반복된 사고와 관행을 근본적으로 끊어내기 위한 구조적 개혁”이라고 밝혔고, 내부적으로는 조직 역사상 가장 강한 개혁 패키지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쇄신안에는 임원·집행간부 대규모 교체, 농·축협 정리 등 인사·보상·운영·관리 전 영역을 손질하는 형태로 설계됐습니다. 

내부통제 관리책임 체제도 첫 적용되는데, 사고 발생 시 임원별 책임 범위를 명확히 규정하는 책무구조도가 도입됩니다. 

농협금융 계열사에 한정된 이연성과급을 범농협 계열사로 확대하고, 중대한 과실 발생 시 보수를 환수할 수 있도록 규정을 강화하는 내용도 담겼습니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쇄신안의 성패를 가를 첫 분기령으로 다음 달 인사를 보고 있습니다. 

이미 농협은 과거 2022년, 2024년 금융사고 재발 방지 목적 내부통제 강화와 구조조정안을 발표했지만, 실질적인 효과를 내지 못했습니다.

원인으로는 중앙회 중심 지배구조, 낙하산 인사 반복, 책임규정보다 조직논리 우선 등이 꼽힙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책임져야 할 사람이 개혁을 설계했다"는 비판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여기에 최근 일부 임원을 둘러싼 금품수수 의혹과 계열사 비위 조사 등으로 조직 신뢰도가 흔들리고, 강호동 농협중앙회장 연루 의혹까지 거론되면서, 상황이 악화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번 쇄신안이 국감 대응과 외부 시선 관리 수준에 머무르지 않고 체질개선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임원 교체 규모와 인사 기준 공개 여부, 내부통제 기준을 적용한 책임 부과 사례 유무뿐만 아니라, 기존 인맥과 지역 기반 인사 흐름이 끊어질 지가 핵심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이연아 기자

yalee@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