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생활

  • 최신순
美 생식의학회 ‘차광렬 줄기세포상’ 멜버른대 케이티 아이어스 교수 수상
美 생식의학회 ‘차광렬 줄기세포상’ 멜버른대 케이티 아이어스 교수 수상
차병원은 미국 텍사스 샌안토니오 헨리B. 곤잘레스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된 제81회 미국생식의학회(ASRM)에서 ‘차광렬 줄기세포상’ 12회 수상자로 호주 멜버른대학 머독아동연구소 케이티 아이어스(Katie Ayers) 교수를 선정
2025-10-28이금숙 기자
서울대어린이병원, '개원 4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개최
서울대어린이병원, '개원 4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개최
1985년 아시아 최초의 어린이 전문 대학병원으로 문을 연 서울대어린이병원은 지난 40년 동안 대한민국 소아 의료의 발전을 선도하며 아시아를 대표하는 어린이병원으로 성장해왔다. 지난 24일 CJ홀에서 열린 ‘개원 40주년 기
2025-10-28이금숙 기자
최신 방사선치료 ‘FLASH’…정상조직 보호 원리 밝혀져
최신 방사선치료 ‘FLASH’…정상조직 보호 원리 밝혀져
최신 방사선치료 FLASH 치료가 가지는 정상조직 보호 효과의 원리가 밝혀졌다. 연세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이익재 교수, 남길영‧김지영 연구원 연구팀은 옥스퍼드대학교 종양학과 문이정 교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정영태 교
2025-10-28이금숙 기자
자연임신 돕는 ‘나프로’ 도입 9년…여의도성모병원서 홈커밍데이 개최
자연임신 돕는 ‘나프로’ 도입 9년…여의도성모병원서 홈커밍데이 개최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와 가톨릭대 가톨릭중앙의료원이 10월 25일 여의도성모병원에서 나프로임신센터 홈커밍데이를 개최했다. 나프로임신법(NaProTechnology)은 자연의(Natural), 가임력이 있는(Procreative), 기술(Technology)의 합
2025-10-27이금숙 기자
다발골수종 환자의 ‘골절-사망률’ 연관성, 국내 빅데이터로 첫 입증
다발골수종 환자의 ‘골절-사망률’ 연관성, 국내 빅데이터로 첫 입증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박성수 교수, 가톨릭대 의대 약리학교실 한승훈 교수 공동 연구팀이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골절 발생과 사망 위험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국내 대규모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
2025-10-27이금숙 기자
의기협-천식알레르기학회, ‘중증 천식 치료 보장성 확대' 심포지엄 개최
의기협-천식알레르기학회, ‘중증 천식 치료 보장성 확대' 심포지엄 개최
천식은 전 연령에서 비교적 흔히 발생하는 만성 호흡기 질환이지만 중증 천식으로 악화될 경우 입원율과 사망 위험이 크게 높아져 적극적인 관리와 치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중증 천식 치료에 효과적인 생물학적 제제에 대한
2025-10-27이금숙 기자
입 속 궤양 3주 지나도 안 낫는데…혹시 ‘구강암’?
입 속 궤양 3주 지나도 안 낫는데…혹시 ‘구강암’?
입안에 생긴 상처나 염증이 잘 낫지 않아 구내염이 오래 간다고 생각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염증이 3주 이상 낫지 않는다면 단순 염증이 아닌 구강암의 초기 신호일 수도 있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구강암은 치료가 쉽지
2025-10-27이금숙 기자
스트레이 키즈 리노, 삼성서울병원에 1억 원 기부
스트레이 키즈 리노, 삼성서울병원에 1억 원 기부
삼성서울병원은 JYP엔터테인먼트 소속 그룹 스트레이 키즈(Stray Kids) 멤버 리노<사진>가 자신의 생일을 맞아 1억 원을 기부했다고 밝혔다. 리노의 기부금은 삼성서울병원에서 치료받는 성인중증질환 환자 및 소아청소년 환
2025-10-27이금숙 기자
수면무호흡증, 뇌 노폐물 배출 저하시켜…치매 유발한다
수면무호흡증, 뇌 노폐물 배출 저하시켜…치매 유발한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인지기능저하 및 치매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구체적 발병 경로가 밝혀졌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윤창호 교수·고려대 의대 인간유전체연구소 신철 교수·하버드의대 베스 이스라엘병원 수면
2025-10-27이금숙 기자
주치의 있는 당뇨병 환자, 의료비 적게 쓴다
주치의 있는 당뇨병 환자, 의료비 적게 쓴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 이재호, 신현영 교수 연구팀은 최근 전담 의사를 통해 꾸준히 진료를 유지하는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의료비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상용치료원 (USC, Usual Source of Car
2025-10-24이금숙 기자
[부고] 임관일 (前 대한한의사협회 부회장) 본인상
[부고] 임관일 (前 대한한의사협회 부회장) 본인상
▲임관일씨 별세 = 24일, 국립중앙의료원 장례식장 207호, 발인 27일. ☎ 02-2262-4800 /kslee@sedaily.com
2025-10-24이금숙 기자
자궁경부암 수술 후 자연임신 성공…
자궁경부암 수술 후 자연임신 성공…"아기 기적처럼 찾아와"
“임신은 이제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이렇게 제 품에 아기를 안고 있으니 정말 꿈만 같습니다.”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은 자궁경부암 진단 후 다빈치 로봇을 이용한 자궁경부절제술로 가임력을 보존한 30
2025-10-24이금숙 기자
젊을 때 심혈관 관리… 중년 이후 심뇌혈관·신장질환 위험 낮춘다
젊을 때 심혈관 관리… 중년 이후 심뇌혈관·신장질환 위험 낮춘다
젊은 성인기의 누적된 심혈관 건강 관리가 중년기의 심뇌혈관질환과 신장질환 발생 위험을 크게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이호규 교수, 하경화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지종현 교수
2025-10-24이금숙 기자
발음 어눌해지고 한쪽 팔다리 힘 빠진다면…‘뇌졸중’일 수도
발음 어눌해지고 한쪽 팔다리 힘 빠진다면…‘뇌졸중’일 수도
10월 29일은 ‘세계 뇌졸중의 날’이다. 세계뇌졸중기구(WSO)가 뇌졸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예방과 치료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제정했다. 뇌졸중은 2023년 기준 국내 사망원인 4위 질환이면서, 환자에게 심각한 후유장
2025-10-23이금숙 기자
“2030세대 10명 중 8명 COPD 모른다”…결핵및호흡기학회 대국민 인식도 조사
“2030세대 10명 중 8명 COPD 모른다”…결핵및호흡기학회 대국민 인식도 조사
20~30대 젊은 세대의 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인지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10명 중 8명은 “COPD를 모른다”고 했다.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는 2025년 제22회 폐의 날을 맞아 전국 만 18~69세 성인 남녀 544명을 대상
2025-10-23이금숙 기자
이대혈액암병원, 세포·유전자 처리센터 개설…
이대혈액암병원, 세포·유전자 처리센터 개설…"난치성 혈액암 치료 집중"
이대혈액암병원이 최근 ‘CAR-T 세포 치료’가 가능한 세포·유전자 처리센터를 개설하고 본격 운영에 나서면서 난치성 혈액암 환자들을 위한 치료 옵션을 한층 강화했다. CAR-T(Chimeric Antigen Receptor T) 세포 치료는 환자
2025-10-23이금숙 기자
유럽 심낭질환 첫 가이드라인에 삼성서울병원 연구 3편 인용
유럽 심낭질환 첫 가이드라인에 삼성서울병원 연구 3편 인용
삼성서울병원이 2009년 국내 최초로 심낭질환 클리닉을 개설한 이후 16년 동안 축적해 온 전문 진료와 수술 치료, 임상연구 성과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삼성서울병원은 최근 유럽심장학회(ESC)가 처음으로 발표한 심낭질환
2025-10-23이금숙 기자
팔다리 힘 빠지고 시야가 흐릿하다면? 다발성경화증 의심
팔다리 힘 빠지고 시야가 흐릿하다면? 다발성경화증 의심
다발성경화증은 뇌와 척수, 시신경 등 중추신경계를 공격하는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이다. 쉽게 말해, 몸의 면역체계가 자기 신경을 적으로 착각해 공격하면서 병이 생기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신경이 손상되고, 다양한 신체
2025-10-21이금숙 기자
‘안면신경마비’ 의심…이마 주름 잡아보거나 눈 감아보세요
‘안면신경마비’ 의심…이마 주름 잡아보거나 눈 감아보세요
최근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면역력 저하와 잦은 혈관 수축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평소와 달리 한쪽 얼굴이 뻣뻣해지거나 눈이 잘 감기지 않고 입이 삐뚤어지는 ‘안면신경마비’가 찾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오성
2025-10-21이금숙 기자
‘뱃 속 시한폭탄’ 복부 대동맥류, 13년간 3배 증가
‘뱃 속 시한폭탄’ 복부 대동맥류, 13년간 3배 증가
복부 대동맥류 환자 수가 13년간 약 3배 이상 증가했다는 대규모 분석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동경희대병원 혈관외과 조성신 교수팀은 2010년부터 2022년까지 전국 단위 데이터를 활용해 복부 대동맥류 환자 수 증가 현황을 분석하
2025-10-20이금숙 기자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