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신탁 재산' 900조원 돌파…은행이 절반 점유

신탁 재신이 올해 들어 900조원을 넘어섰다. 이중 은행의 신탁 재산은 전체의 절반에 달했다.
26일 금융감독원은 올해 6월말 현재 신탁 재산이 924조3,000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1년 전보다 100조원 넘게 증가한 것이다. 지난해 말 873조5,000억원이었던 신탁 재산이 올해 3월 말 904조원으로 처음 900조원 선을 넘어섰다.
신탁은 고객이 주식, 채권, 예금, 부동산 등의 자산을 맡기면 신탁회사가 일정기간 동안 운용 및 관리를 해주는 종합자산관리 서비스를 말한다. 신탁 재산은 2000년 말만 해도 90조원 수준에 그쳤으나 2010년 말 370조7,000억원으로 늘어난 데 이어 2016년 말 715조6,000억원, 2017년 말 775조2,000억원, 지난해 말 874조5,000억원 등 꾸준하게 증가했다.
금융권별로는 6월말 현재 은행의 신탁 재산은 459조2,000억원(49.7%)으로 전체의 절반에 육박했고 증권사 222조원(24.0%), 부동산신탁회사 219조7,000억원(23.8%), 보험사 23조4,000억원(2.5%) 등이다. 재산의 유형별로는 금전신탁이 469조5,000억원(50.8%)이고 재산신탁은 454조7,000억원(49.2%)이다. 금전신탁은 특정금전신탁이 453조1,000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재산신탁 중에서는 부동산신탁이 268조1,000억원으로 가장 많고 금전채권신탁(181조7,000억원), 유가증권신탁(4조9,000억원) 순이다.
한편, 신탁 재산은 앞으로도 당분간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특히 올해는 부동산신탁회사가 2009년 이후 10년 만에 인가를 받아 시장 규모가 더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고현정기자go838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주가조작 합동대응단 출범…'원스트라이크 아웃' 도입
- 업비트·빗썸, '코인 대여' 논란…"규제 사각지대" 우려
- 오너 리스크 불거진 하이브…주가도 '급제동'
- "고령층이 핵심 고객"…KB금융, 시니어 사업 고도화
- 농협중앙회, 재해대책위 개최…여름철 재해대응 500억원 긴급 편성
- 농협경제지주, 일본 쌀·쌀가공식품 수출 확대 박차
- 이니텍, '제로트러스트' 미래 보안 전략 세미나 개최
-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 대상, 내년 코스피 상장사 전체로 확대
- 금융위, 삼성·한화·미래에셋 등 7곳 금융복합기업집단 지정
- 심플랫폼, HDC현산에 ‘AI 온열질환 대응 플랫폼’ 공급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구파티마병원, 자원순환가게 ‘Eco Shop’ 오픈식 개최
- 2대구가톨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최태영 교수, '도망쳐도 괜찮아' 번역 출간
- 3영남대병원 대구금연지원센터, ‘2025년 대구광역시 금연사업 협력 워크숍 및 컨설팅’ 개최
- 4영남대 의과대학-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기술교류 세미나 성료
- 5영남대병원, 경북-캄보디아 핵심의료인력 역량강화 연수기관으로 참여
- 6영남대병원 조찬호 교수, 유럽안과학회 최우수 포스터에 선정
- 7영남대의료원, 2025년 ‘KOICA 글로벌연수사업’ 수행기관 선정
- 8강대식 의원, 헌법의 가치 회복 및 외국인 투기 차단 위한 민생 법안 2건 대표발의
- 9경북대병원,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사업’ 선정
- 10경북대병원, ‘협력병원 실무자 교육세미나’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