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매 낙찰가율 62.8%…10년 만에 최저

경매 낙찰가율이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업무상업시설 낙찰가율이 전달대비 21%포인트 넘게 폭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법원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발표한 ‘2019년 8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경매 낙찰가율은 전월 대비 9.5%포인트 하락한 62.8%를 기록했다. 1만2,000건을 돌파했던 진행건수는 1만1,898건으로 소폭 감소했고, 이 중 4,034건이 낙찰돼 낙찰률은 33.9%, 평균응찰자수는 3.7명으로 집계됐다.
8월 낙찰가율은 2009년 3월(61.8%) 이후 10년 5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용도별로는 주거시설(-2.4%p)과 토지(-1.2%p)가 전월 대비 소폭 감소한 가운데 업무상업시설이 21.4%포인트 폭락한 44.3%를 기록했다. 이는 지지옥션이 관련 통계를 수집한 200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지역별로 가장 큰 감소폭을 보인 곳은 경북(-37.8%p)과 강원(-22.9%p)으로 낙찰가율은 각각 31.6%와 50%를 기록했다. 7월 전국 최고 낙찰가율을 기록했던 광주(96.6%)와 최하위권에 머물렀던 충남(60%)도 10%포인트 안팎의 낙폭을 보이며 각각 80.7%와 51.3%를 기록했다.
이에 반해 서울과 대전의 낙찰가율은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전월 대비 1.7%포인트 높아진 87.9%를 기록했고, 대전은 7%포인트 오른 70.4%로 집계됐다. 용도별로는 두 지역 모두 토지 낙찰가가 10%포인트 이상 상승한 것이 주요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경매 낙찰가율은 감정가 대비 낙찰가의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다. 높은 낙찰가율은 경매에 나온 물건에 대한 투자 또는 소유 가치가 높게 평가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반대의 경우 시장의 낮은 평가를 유추할 수 있다. 다만, 개별 경매 물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해석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낙찰가율만으로 지역 경기 현황을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정창신기자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T&G, 3분기 영업익 4653억…전년比 11.4%↑
- CJ CGV, 3분기 영업익 233억…전년比 27.2%↓
- 아모레퍼시픽 그룹, 3분기 영업익 1043억…전년比 41%↑
- BGF리테일, 3분기 영업익 977억…전년比 7.1%↑
- 한국앤컴퍼니그룹, 글로벌 車부품 전시회 공동 참가
- CJ프레시웨이, 3분기 영업익 336억…전년比 19%↑
- 건설업계, CEO 인사 칼바람?…“교체보다 안정”
- 하이트진로, 성장 제동…국내도 해외도 ‘막막’
- 게임업계, 연쇄 구조조정…“대작 개발 방식 재검토”
- 현대차 무뇨스 “올해 위기 대응력 증명”…‘수익성 강화’ 주력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기장군, 고리원전 사고 대비 방사능방재 집중훈련 실시
- 2인천국제디자인페어, AI와 ‘사람 중심 디자인’ 조명
- 3‘게임체인저’ 선언 이후…경기북부 규제완화 속도전
- 4영남이공대, 지역연계 신산업 진로체험 프로그램 성과평가회 개최
- 5영덕군, 2026년 어촌신활력증진사업 공모 선정
- 6영덕군, 2025·26 산불 감시원 발대식 개최
- 7영덕군, 영덕도예문화체험장 본격 개장
- 8계명문화대, 우즈베키스탄 KOICA 직업훈련원과 직업교육 협력 강화
- 9영남대, ‘국내 TOP5’ 연구력 입증…라이덴랭킹 2년 연속 쾌거
- 10iM뱅크(아이엠뱅크), 2025 을지연습 평가결과 ‘최우수 기관’ 선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