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협 등 지난해 순이익 15%↓…농수산물 판매 부진

[서울경제TV=유민호기자] 농협·수협·신협·산림조합 등 상호금융조합의 지난해 순이익이 2조1,000억원을 넘겼다. 1년 전보다는 15% 감소했다.
금융감독원이 31일 발표한 ‘2019년 상호금융조합 영업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상호금융조합의 당기순이익은 2조1,70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보다 3,896억원(15.2%) 줄어든 수치다. 농협(1조6,909억원), 신협(3,701억원), 수협(693억원) 등이 감소했다. 산림조합(399억원)은 늘었다.
신용사업부문(금융) 순이익은 4조2,121억원을 기록했지만, 판매·관리비가 1,712억원 늘면서 전년보다 623억원 줄었다. 특히 경제사업부문 손실(-2조,419억원)이 농수산물 가격 하락·판매 부진 등으로 3,273억원 크게 늘어난 것이 순이익 감소에 영향을 줬다.
지난해 말 기준 상호금융조합의 총자산은 546조1,000억을 기록해 1년 전보다 40조,2000억원(7.9%) 증가했다. 농협(1,118개)·신협(883개)·수협(90개)·산림조합(137개) 등 모두 2,228개 조합의 조합당 평균 자산은 190억원 늘어난 2,451억원이었다.
총여신은 365조4,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7조8,000억원(5.1%) 늘었다. 총수신은 전년보다 36조원(8.4%) 증가해 464조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기준 연체율은 1.71%를 보였다. 1년 전 보다 0.39%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1.42%)과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2.12%)은 각각 0.18%포인트, 0.78%포인트 올랐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52%포인트 상승한 2.04%였다.
지난해 말 순자본 비율은 0.01%포인트 오른 8.10%로 규제 비율(2%) 대비 높은 수준 유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코로나19 등으로 소상공인 등 취약차주 중심으로 잠재위험이 현재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차주별·업종별 연체율 등 건전성 현황을 보다 세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손실흡수능력 제고 및 부실자산 정리를 적극 지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일시적 자금난을 겪고 있는 차주나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채무조정제도 등을 통해 금융부담을 완화하는 포용금융 확대를 유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you@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외국인 환전업자 10명 중 9명 중국인…위안화 환전은 2%
- 사망보험금, 생전 연금처럼 받는다…유동화 본격 시행
- 대출 규제에 카드론 재미 시들…카드업계 '불황 터널'
- '5조 클럽·최대 이익'… KB·우리금융 함박웃음
- NH농협금융, 3분기 누적 순익 2조2599억원…증권↑은행·보험↓
- KBI그룹, 라온 이어 상상인저축은행 품는다…1107억원에 지분 90% 인수
- KB국민은행, 한국-인도네시아간 QR결제서비스 최초 시연 성공
- 루센트블록, 카카오뱅크와 STO 대중화 위한 MOU 체결
- iM금융그룹, 향후 5년간 생산적금융 총 45조원 공급
- 신한자산운용, ‘SOL 국제금 ETF’ 총 보수 연 0.05%로 인하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10월 수출 3.6%↑…반도체·선박이 실적 견인
- 2미국, 2일 서머타임 해제…한국과 시차 1시간 더 벌어진다
- 3명륜진사갈비, 고객감사 기부릴레이 다시 이어져
- 4SK온·SK엔무브 합병 완료…글로벌 배터리 경쟁력 강화
- 5전국 평균 휘발유값 1666원…3주 만에 오름세
- 6비트코인 '업토버' 끝났다…7년만에 첫 '10월 월간 하락'
- 7로레알파리-미야오, 'HELLO KITTY, BYE DAMAGE' 캠페인 공개
- 8외국인 환전업자 10명 중 9명 중국인…위안화 환전은 2%
- 9‘AI 투자’가 갈랐다…빅테크 3분기 실적 명암
- 10NDC 전환 가속에 중소 부품업계 ‘생존위기’…“속도보다 수용성 고려해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