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대 신용대출 금리 사라진다…전문직 연봉 2배 대출도 막힐듯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빚투'(대출자금으로 투자) 등의 영향으로 급증한 신용대출이 잠재적 금융 위험 요소로 지목되자, 은행권이 스스로 대출 총량·속도 조절에 나선다.
우대금리 폭을 줄여 전체 신용대출 금리 수준을 높이고, 최고 200%에 이르던 일부 전문직의 연 소득 대비 신용대출 한도도 줄일 방침이다.
16일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자율적 신용대출 관리 방안으로서 우선적으로 우대금리 하향 조정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10일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는 1.85∼3.75%(각 은행 신용대출 대표상품 기준) 수준이다.
각 은행에서 최저 금리로 돈을 빌리려면 우대금리(금리할인) 혜택을 최대한 받아야 하는데, 우대금리는 해당 은행 계좌나 계열 카드 이용 실적, 금융상품 가입 유무 등 여러 부가 조건에 따라 부여된다.
결국 이 깎아주는 우대금리 폭을 줄여 신용대출 금리 수준을 지금보다 높이면 대출 증가 속도를 어느 정도 늦출 수 있다는 게 은행권의 설명이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도 "금융감독 당국으로부터 과도한 신용대출을 자제하라는 뚜렷한 메시지를 받은 만큼, 시중은행 모두 신용대출 위험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안다"며 "금리에 민감한 요즘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 수단은 우대금리 조정 등을 통해 금리를 올리는 것"이라고 전했다.
A 은행의 경우 이미 선제적으로 이달 1일 자로 신용대출 우대금리 할인 폭을 0.2%포인트 줄였다.
만약 다른 은행들이 조만간 신용대출 금리를 비슷한 폭으로만 높여도, 현재 금리 범위(1.85∼3.75%)를 고려할 때 상징적 의미의 '1%대 신용대출 금리'는 시중에서 찾을 수 없게 된다.
아울러 은행들은 특수직(의사·변호사 등 전문직 포함) 등에 대한 신용대출 한도도 낮출 전망이다.
은행권의 신용대출은 보통 연 소득의 100∼150% 범위에서 이뤄지지만, 특수직 등은 현재 은행에서 많게는 연 소득의 200%까지 빌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는 게 은행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연봉이 1억5천만원이라면, 담보 없이 신용대출로만 끌어 쓸 수 있는 돈이 3억원에 이른다는 얘기다.
금융감독원도 지난 14일 시중은행 부은행장(여신담당 그룹장급)들과의 화상회의에서 "최고 200%에 이르는 신용대출 소득 대비 한도가 너무 많은 것 아니냐"는 의견을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 입장에서는 금융기관의 건전성 관리, 부동산 자금 유입 차단 등을 위해 신용대출 급증세를 진정시키고 대출 총량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는 게 최우선 과제다.
하지만 서민의 '생활자금'용 신용대출까지 조일 수는 없으니, 결국 낮은 금리로 수억 원씩 빌리는 고신용·고소득 전문직의 신용대출부터 줄이라는 '신호'를 보낸 것으로 은행권은 해석하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총량 관리 차원에서 은행들에 연말까지 신용대출 계획서 제출을 요구하면서, 동시에 저소득 계층의 생활고와 관련된 신용대출은 지장이 없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며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려면, 은행으로서는 소수 특수직 등의 거액 신용대출 한도를 건드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은행의 수익성 측면에서도 신용대출 금리 인상과 한도 축소는 동시에 실행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은행권의 시각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신용대출 금리 인상 자체가 대출 수요 감소의 수단이 될수 있지만, 이익을 내야하는 은행 입장에서는 '공급'인 신용대출 한도를 줄이려면 '가격'인 금리를 높일 수 밖에 없는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벤처기업협회, 벤처 투자시장 활성화를 위한 혁신 토론회 개최
- 티웨이항공, 유럽 로마·파리 노선 현장점검 진행
- 컨츄리시티즌, ‘전국 청년 로컬 브랜드 소개’ 팝업스토어 성료
- N32, ‘롯데백화점 웨딩페어’ 참여
- 싱가포르항공, 크리스플라이어 마일리지 전환 비율 개선
- 베스트텍, AI-MIT 플랫폼으로 글로벌 실천 사례 제시
- 11번가, '한국서비스품질지수' 18년 연속 e커머스 부문 1위
- 쿠팡, ‘원피스 페어’ 개최…"여름 원피스 최대 70% 할인"
- 파인메딕스, 중앙亞 9개국 진출…내시경 절개칼 ‘클리어컷 나이프’ ODM 계약
- 에이지스킨, 日 홈쇼핑 QVC서 완판 기록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벤처기업협회, 벤처 투자시장 활성화를 위한 혁신 토론회 개최
- 2'2025 남원오픈 국제검도대회·제33회 조병용선생추모검도대회' 성료
- 3장수군, '2026 시설원예분야 지원사업' 신청·접수
- 4임실군, '2025 아쿠아페스티벌' 26일 개막
- 5장수군, '뜬봉샘 생태체험'…환경부 '우수 교육' 재지정
- 6순창군, 전북자치도 임도사업 최우수기관 1위 선정
- 7한화저축은행, '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캠페인 동참
- 8한화생명금융서비스, 신임 대표이사에 최승영 전무 선임
- 9광주銀, 모니터링 전담인력 운영 효과 봤다…보이스피싱 23억원 편취 막아
- 10로엔서지컬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 인도네시아서 첫 수술 성공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