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TV] 입지따라 뒤바뀐 아파트 운명

경제·산업 입력 2016-03-18 18:35:00 수정 2016-03-18 18:35:00 정창신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아파트 매매가격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새 아파트면 가장 비쌀 것으로 생각하실 텐데요, 장기적으로 보면 준공시기가 오래된 아파트라도 교통과 학군, 상권 등의 인프라를 잘 갖춘 입지 좋은 단지가 매매가격이 더 높게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정창신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1998년 서울 강서구 등촌동 등촌대림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 2억2,000만원. 98년 당시는 입주한 지 3년이 지난 시점으로 새 아파트라는 매력 때문에 수요자들이 몰려 높은 인기를 끌었습니다. 반면 입주한 지 21년이 지난 인근의 송파구 잠실동 잠실5단지 아파트 가격은 2억1.000만원이었습니다. 하지만 18년이 지난 올해 2월 기준으로 두 아파트의 매매가격은 역전 됐습니다. 등촌대림아파트는 5억원 가량에 거래가 되지만 잠실 5단지는 12억4,700만원에 실거래 됐습니다. 교통과 학군 등 좋은 입지와 재개발 호재라는 매력이 더해져 매매가격이 큰 폭의 차이를 보이게 된 것입니다. 잠실 주공5단지는 지하철 2·8호선의 환승역인 잠실역을 걸어서 5분이면 이동가능합니다. 2호선 신천역도 도보 7분이면 도착할 수 있습니다. 단지 인근에는 백화점과 쇼핑몰, 놀이동산, 대형병원 등 편의시설도 충분합니다. 반면 등촌대림은 9호선 가양역과 양천향교역을 가려면 걸어서 10분이상 소요됩니다. 주변 백화점은 없습니다. [인터뷰] 김은진 / 부동산114 리서치팀장 “재개발·재건축 개발재료가 있거나 학군, 교통 등 입지가 우수하다면 장기적으로 보유했을 때 가치가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성남 분당구와 서울 강남구에서도 이 같은 현상은 마찬가지입니다. 1998년 입주한 지 7년이 지난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삼성아파트값은 2억원. 입주 20년이 된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1억9,000만원이었습니다. 이들 아파트 역시 올해 초 각각 5억9,000만원과 11억2,000만원에 거래됐습니다. 약 2배 가까이 가격차이가 났습니다. 은마아파트는 지하철 3호선 대치역과 학여울역이 도보 5분내 접근이 가능하고, 주변에 백화점과 대형마트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서현동 삼성아파트는 주변 서현역과 백화점을 도보 10분내 이동이 가능하지만, 은마아파트가 갖춘 최고의 학군과 서울 상권의 중심인 강남과 인접했다는 최적의 입지를 뛰어넘지 못해 매매 가격에서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서울경제TV 정창신입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정창신 기자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