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지식재산 정책 일자리 중심 개편

경제·산업 입력 2018-02-01 18:10:00 수정 2018-02-01 18:10:00 정창신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특허청이 지식재산으로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들겠단 포부를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올해 전체사업비의 83%가 넘는 2,330억원을 일자리 사업예산으로 잡았는데요. 석·박사급 이공계 출신의 특허심사인력을 늘리고, 선행기술조사 발주를 민간에 확대해 새 일자리를 만들 예정입니다. 보도에 정창신기자입니다. [기자] 특허청이 오늘(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지식재산으로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새해 업무계획을 내놨습니다. 지식재산은 특허, 상표, 디자인 같은 산업재산권과 저작권을 합해 부르는 말입니다. [인터뷰] 김태만 / 특허청 차장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지재권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지식재산을 통해 질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주안점을 뒀습니다.” 특허청은 올해 전체 사업비의 83%가 넘는 2,330억원을 일자리 사업에 집중한다는 계획입니다. 오는 2022년까지 석·박사급 이공계인력 1,000명을 충원해 특허심사 1건당 투입시간을 기존(2017년 기준) 11시간에서 2022년 20시간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더 꼼꼼히 심사해 고품질의 특허를 만들겠단 겁니다. 여기에 선행기술조사 발주 물량을 민간에 대폭 개방할 예정입니다. 지난해 민간 점유율은 23%에 불과했지만 2022년엔 50%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이를 통해 민간 일자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지자체와 공동으로 대학생, R&D 퇴직인력 등에 지식재산 전문교육을 실시한 뒤 지역기업 취업(연 300명)을 지원합니다. 또 지식재산 조사·번역 등 실무교육을 통해 지식재산 서비스기업으로 채용(연 200명)도 지원합니다. 2022년까지 총 2,500명의 일자리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상표·디자인 조사 전문기관은 지정제로 운영하고 있지만 앞으로 등록제 도입을 추진합니다. 일자리 창출을 가로막는 규제로 본 겁니다. 민간 조사업체가 늘어나면 조사인력이 확충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허청은 이 같은 사업을 통해 지식재산 서비스업 시장규모가 2조1,000억원(2017년 기준)에서 2022년 2조7,000억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지식재산 관련 기업의 경우 매출 10억원 당 20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다는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1만2,000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정창신기자 csjung@sedaily.com [영상취재 허재호 / 영상편집 소혜영]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정창신 기자

csjung@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