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차주 부채 87조… 1년 새 4.1조 증가

저소득이거나 저신용자인 취약차주 부채 규모가 증가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약차주 대출은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은행, 신용대출에 쏠려 있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을 보면 취약차주 부채는 지난해 말 86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4조1,000억원 증가한 규모다.
취약차주는 다중채무자이면서 ▲ 저소득(하위 30%) 또는 ▲ 저신용(7∼10등급)인 차주를 의미한다.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이고 저신용인 차주는 37만8,000명으로 이들의 대출 규모는 12조2,000억원으로 파악됐다.
취약차주 대출 가운데 저축은행, 상호금융, 여신전문회사, 대부업 등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은행 비중은 64.8%에 달했다. 전체 가계대출 평균(42.6%)보다 20%포인트 이상 높았다.
아울러 신용대출 비중은 41.7%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하락했지만 비취약차주(23.7%)보다 여전히 2배 가까이 높았다.
지난해 전체 가계부채는 증가세가 둔화했으나 여전히 소득, 경제 규모보다 빠르게 불었다.
지난해 말 가계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62.7%로 1년 전(159.8%)보다 상승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83.8%에서 86.1%로 올랐다.
고소득·고신용자가 부채를 많이 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현재 전체 가계대출 중 고소득(상위 30%) 차주 대출은 64.4%, 고신용(1∼3등급) 차주 대출은 70.8%에 달했다.
차주의 소득 대비 가계대출 비율(LTI)은 217.1%로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빚 부담이 큰 LTI 300% 이상 차주 비중은 21.9%로 5명 중 1명꼴로 파악됐다.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DSR)은 31.8%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올랐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지난해에는 비은행 대출 연체율이 1.55%로 1년 전보다 0.17%포인트 상승했다.
영세 자영업자,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차주의 채무 상환능력이 저하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분석했다. /정훈규기자 cargo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기 하반기 통큰세일 개막…429곳 동시 참여
- 210월 자동차보험 손해율 87.4% 기록…전년比 2.2%p↑
- 3NH농협카드, '제4회 NH행복채움Day' 성료
- 4핀다, 서민금융 정책대출 누적 중개액 2조원 돌파
- 5서울성모병원, '2025 의료정보보호 챌린지' 1위 달성
- 6리얼브릭-메타킨더에듀, 맞손...'구조적 사고력 디지털 교구' 개발 착수
- 7천안시, ‘K-치의학 메가클러스터’ 완성…중부권·수도권 연계 강화
- 8화성시, 2040년 도시기본계획 최종승인
- 9김보라 안성시장,“시민과 함께 지속 가능한 도시 완성"
- 10의왕시, ‘제2회 대한민국 지자체 홍보대상’ 대상 수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