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심 잡아라"… 보안·편리성 집중한 오피스텔 공급


여성 1인 가구 변화 추이. / 자료제공=통계청
1일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우리나라 1인 가구는 561만8,677가구로 전체 가구의 28.6%를 차지하며 가장 지배적인 가구형태가 됐다. 이중 혼자 사는 1인 여성가구 수는 282만6,828가구로 2000년 127만9,437가구보다 120% 늘었다.
건설사들은 혼자 사는 여성 가구가 늘면서 공간배치, 특화설계를 도입해 여성 수요자를 잡기 위한 마케팅 경쟁에 나서고 있다.
실제로 여성 1인 가구가 늘면서 주거안전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여성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서울시 20~30대 여성 1인 가구 700명을 조사한 결과 44.6%는 일상생활이 안전하지 않다고 느낀다고 응답했다. 현재 거주지가 안전하지 않다는 의견도 36.3%(대체로 불안 35.7%, 매우 불안 0.6%)에 달했다.
권강수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이사는 “오피스텔은 다주택이나 빌라보다 구조와 설계, 보안시스템, 편의 시스템 등이 잘 갖춰져 있어 여성 실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다”라며 “건설사들은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인 상황에서 경제활동과 더불어 독립적인 삶을 즐기는 여성들이 증가하면서 이들을 겨냥한 오피스텔을 선보이고 있다”라고 말했다.
코오롱글로벌이 4월 초 인천 서구 가좌동 일대에 분양하는 ‘가좌 코오롱하늘채 메트로’는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된 무인택배 시스템이 제공되고, CCTV 보안시스템, 지하주차장 CCTV 연동 비상콜, 방범 감지기(일부), 방범 도어카메라, 스마트 도어록 등이 설치될 예정이다.
대우산업개발이 서울 강동구 천호동에 분양 중인 ‘이안 강동 컴홈스테이’는 1차 사업지의 4,5층에 여성만 거주가 가능한 전용층, 여성 전용주차장 등을 마련했다.
한화건설이 오는 4월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 일대에 분양하는 ‘수지 동천 꿈에그린’은 단지 내 주차장, 엘리베이터, 놀이터 등 주요 동선에 고화질 CCTV를 설치했으며 터치방식이 아닌 가지고만 있으면 공동현관 및 엘리베이터가 자동 작동이 되는 원패스 시스템, 경비실과 연결된 거실 동체감지기가 설치돼 보안을 강화했다.
포스코건설이 태영건설과 함께 오는 5월 경상남도 양산시 사송신도시에 분양하는 '사송 더샵 데시앙'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첨단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AI환기 유니트 연동의 미세먼지 측정센서 및 헤파(HEPA)필터를 제공하며 미스트 분사설비를 설치할 계획이다. 또 홈 IoT 시스템을 도입해 승강기 호출, 조명∙난방∙가스제어 등을 할 수 있다. /이서영 기자 seoyo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 "디지털 자산 활성 기대"…비트마인에 몰린 서학개미
- 메가팩토리약국, 여름철 취약계층 건강 지원
- 다리 붓기 케어 브랜드 ‘레그랩’, 정제형 신제품 ‘라인포뮬러’ 출시
- 소비쿠폰 신청률 90%…재난지원금 때보다 하루 단축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조현, 美상원·백악관 인사와 면담…"전략적 경제 협력 심화"
- 2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3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4김건희특검, '집사게이트' 의혹 IMS·사모펀드 대표 동시 소환
- 5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6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7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8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 9"디지털 자산 활성 기대"…비트마인에 몰린 서학개미
- 10"중학야구계 신흥 강호로 부상"…기장BC, '대통령기 전국중학야구대회' 첫 우승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