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보유 토지 1% 늘어난 241.4㎢…전 국토의 0.2%

외국인의 국내 토지 보유 증가율이 계속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작년 말 기준으로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토지 면적이 전년보다 1.0% 늘어난 241.4㎢로 전 국토 면적(10만364㎢)의 0.2% 수준이라고 12일 밝혔다.
여의도 면적(2.9㎢)의 83배에 이르고 축구장(7천㎡) 3만4,485개에 해당하는 면적이다.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보면 29조9천161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0.7% 줄어든 것이다.
외국인의 국내 토지 보유는 2014∼2015년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2016년부터 증가율이 둔화하는 추세다.
외국인 토지 증가율은 2014년 6.0%에서 2015년 9.6%까지 올랐으나 2016년과 2017년은 각 2.3%로 떨어졌고 작년에는 1%대를 겨우 지켰다.
중국인의 토지 보유는 제주도를 중심으로 2014년까지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5년 이후 증가폭이 크게 줄어드는 추세로, 작년 말에는 전년 대비 4.3% 증가하는 데 그쳤다.
토지 소유자를 국적별로 보면 미국이 전년 대비 0.6% 증가한 1억2,551만㎡로 전체 외국인 전체 보유면적의 52.0% 차지했다.
그 외 중국 7.8%(1,876만 8,000㎡)·일본 7.6%(1,841만 7,000㎡)·유럽 7.4%(1,775만 9,000㎡) 등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전년 대비 2.1% 감소한 4,182만㎡로 전체의 17.3%를 차지했다.
전남이 3,791만㎡(15.7%)로 뒤를 이었고, 경북 3,581만㎡(14.8%)·제주 2,168만㎡(9.0%)·강원 2,107만㎡(8.7%) 등 순으로 보유 면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은 외국인 보유 토지가 25.1% 늘어났으나 광주는 10.1%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제주도는 외국인 보유 토지가 전년 대비 0.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외국인 보유토지를 주체별로 보면 외국국적 교포가 1억 3,319만㎡(55.2%)으로 비중이 가장 크고·합작법인 7,101만㎡(29.4%)·순수외국법인 1,902만㎡(7.9%)·순수외국인 1,762만㎡(7.3%)·정부·단체 55만㎡(0.2%) 순으로 파악됐다. /김성훈기자 bevoic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콘진원, 문화체육관광부와 '2025 프리뷰' 성료…중소 제작사 지원
- 라이프 네트웍스, 배우 지진희 홍보 모델 발탁
- 한미약품, 미국비만학회서 차세대 비만 신약 연구 4건 발표
- 센트비, 토스 외국인 해외송금 서비스 수취 국가∙수단 확대
- 제약바이오협-약제학회, ‘제조품질 혁신 세션’ 공동 개최
- 종근당, ADC 항암제·경구용 비만치료제…美 학회서 연구 성과 발표
- 유한양행-존슨앤드존슨, 폐암 1차 치료제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 한국서 공동 판촉
- KAI, 'KF-16 시뮬레이터' 성능개선 사업 계약 체결
- 티머니, 외국인 관광객 위한 '트래블카드 플러스' 출시
- 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 2025 레미콘 경영혁신 포럼 개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콘진원, 문화체육관광부와 '2025 프리뷰' 성료…중소 제작사 지원
- 2라이프 네트웍스, 배우 지진희 홍보 모델 발탁
- 3한미약품, 미국비만학회서 차세대 비만 신약 연구 4건 발표
- 4센트비, 토스 외국인 해외송금 서비스 수취 국가∙수단 확대
- 5제약바이오협-약제학회, ‘제조품질 혁신 세션’ 공동 개최
- 6종근당, ADC 항암제·경구용 비만치료제…美 학회서 연구 성과 발표
- 7원주시-한국도로공사, 남원주 나들목(IC) 진입부 차로 확장 추진
- 8유한양행-존슨앤드존슨, 폐암 1차 치료제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 한국서 공동 판촉
- 9KAI, 'KF-16 시뮬레이터' 성능개선 사업 계약 체결
- 10고창 여성시니어 합창단, 제4회 정기연주회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