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기 또 사상 최대…“지난해 적발금액 7,982억원”

금융감독원은 보험사기 적발 금액이 지난해만 7,982억원으로, 한 해 전(7,302억원)보다 9%가량 늘었다고 23일 밝혔다.
보험사기 적발 금액은 매년 늘어 역대 최고금액을 매번 경신하는 추세다.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 인원은 총 7만9,179명으로, 한 해 전보다 4,356명(5.2%) 줄었다. 이 때문에 1인당 평균 적발 금액은 처음으로 1,000만원을 넘어 1,010만원을 기록했다.
적발 인원을 직업별로 나눴을 때 보험업 모집종사자와 정비업소 종사자의 보험사기가 최근 3년간 지속해서 늘면서 보험사기가 조직화·대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업 모집종사자는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1,019명에서 1,250명으로 적발 인원이 늘었고, 정비업소 종사자 역시 같은 기간 907명에서 1,116명으로 증가했다.
보험 종목으로 나눴을 때 손해보험 적발 금액이 7,238억원으로, 전체 보험사기의 90.7%를 차지했다. 생명보험의 비중은 9.3%(744억원) 수준이었다.
보험 기간이 1년 이상인 장기손해보험 적발 금액(3,561억원)은 같은 기간 515억원(16.9%) 늘어 전체 보험사기의 44.6%를 차지했다.
이 때문에 종목별 보험사기 비중에서 장기손해보험이 지난해 처음으로 자동차보험사기(41.6%)를 넘어섰다.
금감원 관계자는 “적발 금액은 자동차보험사기도 늘고 있지만, 장기손해보험 사기가 급격하게 늘면서 그 비중이 줄어드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보험사기 유형별로는 허위 입원이나 사고 내용 조작 같은 허위·과다 사고사기가 전체의 72.8%(5천810억원)로 가장 많았다.
방화 같은 고의 사고사기는 891억원에서 1,082억원으로 21.4%나 급증했다.
보험사기 적발자 중 30∼50대는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7년 68.5%에서 지난해 66.8%로 줄었지만, 60대 이상 고령층은 14.5%에서 16.1%로 늘었다.
40대 이하는 자동차 보험사기 비중(73.5%)이, 50대 이상은 병원 관련 보험사기 비중(40.9%)이 컸다.
성별로는 남성이 68.8%(5만4,488명), 여성이 31.2%(2만4,691명)를 차지했다. 남성은 자동차 관련 보험사기 비중이 74.3%(여성 38.9%), 여성은 허위 입원 등 병원 관련 보험사기 비중이 46.9%(남성 18.6%)로 상대적으로 컸다.
지난해 보험사기 신고센터에 접수된 제보는 총 4,981건이었다. 특히 음주·무면허 및 운전자 바꿔치기 등 자동차보험을 중심으로 손해보험사 제보 접수 건이 전체의 90.4%를 차지했다.
생명·손해보험협회와 보험회사는 보험사기 적발에 이바지한 우수 제보 52건에 대해 23억9,00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했다. 포상금은 한 해 전(20억7,000만원)보다 15.5% 증가했다. /이아라기자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하나銀 '대전 D-도약펀드' 1000억원 출자
- 오하임앤컴퍼니, '조이웍스앤코'로 사명 변경…"호카 성장 동력"
- 비에이치아이, '주가·실적 퀀텀 점프' 위해 美 진출 가능성 점검–신한
- 우리금융그룹, 총 80兆 투입... 생산적 금융으로 물꼬 돌린다
-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포용과 혁신으로 국민의 금융그룹 완성”
- NH투자증권, 트레이딩시스템·홈페이지 주소 변경
- 하나증권 "여행 후 남은 외화로 미국 주식 투자하세요"
- 수출입銀, ‘KAI 인니 훈련기 수명연장사업’ 4500만달러 지원
- 코어라인소프트, 美 대규모 영상센터에 AI 솔루션 공급 계약
- 밸로프, '클럽엠스타' 사전 다운로드 개시…글로벌 동시 진행
댓글
(0)